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1년 앞두고 2월부터 4월까지 강원도 일대에서 19개의 테스트 이벤트가 열린다. 2월에만 설상 및 빙상종목을 합쳐 9개 대회가 치러지면서 절정에 이른다. 테스트 이벤트는 올림픽을 앞두고 경기장 시설과 운영 능력 등을 미리 점검하는 중요한 대회다. 크로스컨트리, 노르딕복합, 루지 등 생소하지만 알고 나면 더욱 매력 넘치는 테스트이벤트 경기 종목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주)
 |
소치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하프파이프. (사진=저작권자(c) EPA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공식 경기장인 강원 휘닉스 스노 파크에서 오는 12~19일 FIS 스노보드 월드컵이 개최된다. 올림픽 준비 상황을 점검하는 국제대회인 이번 대회에 세계 각국의 선수들이 미리 경기장을 체험하기 위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휘닉스 스노 파크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총 9개 종목에 걸쳐 금메달 18개의 주인공이 탄생하는 올림픽 주 무대다. 오는 10~19일에는 국제스키연맹(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 12~19일에는 FIS 스노보드 월드컵이 각각 개최된다.
2017 FIS 스노보드 월드컵에서는 기문 두 곳에서 동시에 출발하는 평행대회전, 반원통형 슬로프를 내려오면서 점프와 회전 등 공중연기를 선보이는 하프파이프 등 2개 코스에서 총 4개 종목이 열린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평행대회전(남, 여), 하프파이프(남, 여), 스노보드 크로스(남, 여), 빅 에어(남, 여), 슬로프스타일(남, 여) 등 총 10개의 세부 종목 경기가 열린다.
 |
소치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사진=저작권자(c) EPA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스노보드는 보드를 이용해 슬로프를 질주하는 종목이다. 1960년대 미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해 세계 각국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발전됐으며 199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됐다.
평행대회전은 두 명의 선수가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기문 코스(블루, 레드)를 동시에 출발해 빨리 내려오는 선수가 승리하는 경기이다.
예선전은 한 선수가 블루와 레드코스를 1번씩 주행한 후 두 기록의 합으로 순위를 정하고, 16강부터는 1차전에서 늦게 들어온 시간만큼 2차전에서 늦게 출발(최대 1.5초) 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2차전에서 먼저 들어오는 선수가 승리하게 된다.
하프파이프는 기울어진 반원통형 슬로프(파이프를 반으로 자른 모양)를 내려오면서 점프와 회전 등 공중 연기를 선보이는 종목이다.
6명의 심판이 높이, 회전, 테크닉, 난이도 등에 따른 전반적인 연기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채점해 최고 점수와 최저 점수를 뺀 4명의 점수의 평균으로 순위를 결정하는 경기이다. 선수는 2번의 연기를 하고 이 중 높은 1개의 점수로 순위가 결정된다.
한국 대표팀은 스노보드 월드컵에서 사상 첫 메달을 정조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이탈리아 카레차에서 열린 스노보드 월드컵 평행대회전에서 4위에 올라 한국 설상 종목 사상 월드컵 최고 성적을 낸 이상호는 12일 평창 월드컵에서 메달 획득까지 노리고 있다.
또 한국 출신의 세계적인 스노보드 선수 클로이 킴 등도 출전할 것으로 알려져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클로이 킴은 여자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세계랭킹 1위이다.
이번 테스트 이벤트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테스트이벤트 홈페이지(http://www.hellopyeongchang.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