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 봄 산불로 큰 피해를 본 강원 지역에 소방헬기의 20분 내 현장투입이 가능하도록 ‘헬기진화라인’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강풍과 야간에도 진화 작업이 가능한 대형헬기를 지속적으로 확·보충할 방침이다.
국민안전처와 산림청 등 9개 관계기관은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형 산불 대응체계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안전처 등에 따르면 지난달 6일에는 전국에서 16건의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강원 강릉과 삼척, 경북 상주에서는 큰 피해가 났다.
영동지역은 봄철 강원 양양과 간성 사이에 부는 국지적 강풍인 ‘양간지풍(襄杆之風)’에 의해 작은 불도 대형 산불로 번질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곳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강원 고성∼강릉∼경북 울진∼영덕 구간을 ‘헬기진화라인’으로 구축하고 진화 취약지대였던 춘천, 영월, 영동지역 등에는 헬기를 추가 배치하기로 했다.
또 담수지 원거리 지역 등에서 산불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산림헬기 격납고를 신설하고 이동식 저수조, 취수보 등도 확충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2025년까지 중대형급 헬기 15대를 추가로 확보해 산불 진화현장에 투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재 임차지역 내에서만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임차헬기 운항 관련 법령을 개정, 타 산불지역에서 임차헬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안전처와 산림청, 현장지휘본부 간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산림청과 지자체에서 긴급재난문자를 직접 발송할 수 있도록 개선해 산불 발생 초기 현장에서 재난문자를 신속하게 발송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산림청은 지휘헬기에서 파악한 산불상황 정보를 안전처 등 유관기관에 실시간 제공한다.
지자체에서는 마을방송, 공무원, 민방위조직, 산불감시원 등을 활용해 주민대피와 시설물 보호 등의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이 밖에 ▲지자체의 전문 진화대, 산림청의 공중 진화대 확대 육성 ▲산불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수림대 조성 ▲산림 내 시설물의 불연성 재료 시공 등도 추진된다.
류희인 안전처 차관은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도 유럽처럼 고온건조한 상태로 변하고 있어 여름철에도 대형 산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포르투갈 산불을 반면교사로 삼아 관계기관 간 대응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민안전처 사회재난대응과 044-205-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