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8월 소비자물가 1.4% ↑…11개월째 1%대 상승률

폭염 영향 농산물 가격 전년비 7.0% 올라…누진제 조정으로 전기료는 내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최근 농수산식품공사가 추석 차례상 차림 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18%가량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8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청과물시장이 추석을 앞두고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는 모습.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청과물시장이 추석을 앞두고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는 모습.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8월 소비자물가가 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1개월째 1%대 상승률이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올랐다. 지난해 7∼9월 2%대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월 1%대에 진입한뒤 11개월째 1%대를 이어가고 있다.

항목별로 보면 폭염의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지만, 누진제 구간 조정으로 전기료가 내렸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12.0% 뛰며 전체 물가를 0.52%포인트 끌어올렸다. 경유가 13.4%, 휘발유가 11.0% 올랐다.

폭염에 따라 농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7.0% 올라 전체 물가는 0.33%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쌀(33.4%), 고춧가루(44.2%), 수박(31.1%), 복숭아(29.0%), 무(24.4%), 시금치(22.0%) 등이 크게 올랐다. 전달(7월)과 비교하면 채소 가격은 30.0%나 올랐다.

이는 2016년 9월 33.2% 이후 최대 상승 폭으로, 전달과 비교했을 때는 시금치(128.0%), 배추(71.0%), 무(57.1%), 파(47.1%), 상추(40.5%), 양배추(85.5%) 등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8.9% 줄었다. 7∼8월 누진제 구간 조정에 따른 한시적 효과로 전기료가 16.8% 하락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대비 1.3% 올랐다.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3.2%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0.9% 상승했다.

정부는 9월은 추석물가 불안에 대비해 추석 전 3주간 14개 성수품목 공급을 확대하는 등 추석 성수품들의 수급 및 가격 안정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방침이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