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여겨지는 3만달러를 돌파했다. 2006년 2만달러 이후 12년만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1349달러로 전년(2만9745달러)보다 5.4% 늘었다.
1인당 GNI는 한 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 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 대가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로 통한다.
 |
한국은행 신승철 국민계정 부장이 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2018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3만1349달러로 전년(2만9745달러)보다 5.4% 늘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3만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2006년(2만795달러) 2만달러를 처음 돌파하고 12년 만에 3만달러 고지를 밟았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인구 5000만명, 소득 3만달러 이상의 선진국 상징인 ‘30-50 클럽’ 가입국이 됐다.
미국과 일본, 독일 등에 이어 7번째다.
이와 관련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3만달러 시대의 도래는 종착점이 아니라 재도약을 위한 또 다른 시작을 의미한다”면서 “우리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 성장잠재력 확충, 미래 성장동력 발굴, 사회적 신뢰 구축, 미래도전요인에 대한 대응 등 범정부적인 정책대응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공정경제를 기반으로 한 혁신성장과 소득주도성장을 통해 국민들이 함께 성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교역조건 변화가 반영된 지난해 실질 국민총소득은 1% 늘었고,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2.7%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