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대부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연령 특정하지 않아

2019.10.17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대부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지원 대상을 연령으로 특정하지 않고있다”면서 “내년도 일자리예산은 40대 및 제조업 고용부진, 고용불확실성 증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증가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연령을 제한하지 않은 사업 비중은 79.7%로, 직업훈련과 고용서비스 등 노동시장 정책을 40대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10월 17일 매일경제, 조선일보 등 <늘어난 취업자 상당수가 ‘재정일자리’>, <경제허리 40대 무너지는데… 예산으로 노년층 일자리만 늘렸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대부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연령 특정하지 않아

  • 001 하단내용 참조
  • 002 하단내용 참조
  • 003 하단내용 참조
  • 004 하단내용 참조
  • 005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 내년 일자리 예산은 26조원으로 역대 최대이지만 40대를 타깃으로 한 일자리 예산은 70억원에도 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매일경제>

○ 9월 취업자수를 산업별로 보면 정부 재정 일자리가 포함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전년 동월 대비 17만명 늘어나 증가세를 견인했다. 일자리 재정 투입이 중단되면 언제든 사라질 우려가 있는 일자리들이라는 얘기다. <매일경제>

○ 양적으로 늘어난 취업자 수 대부분이 정부 재정으로 끌어올린 노인 단기 일자리여서 고용의 질은 개선되지 않았다. <조선일보>

[노동부 설명]

□ 대부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지원 대상을 연령으로 특정하지 않고,  40대를 지원하고 있음

□ 내년도 일자리예산은 40대 및 제조업 고용부진, 고용불확실성 증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올해 대비 21.3% 증가(+4.5조원)되었고,

ㅇ 연령을 제한하지 않은 사업 비중은 79.7%(20조 5,528억원)으로 직업훈련, 고용서비스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40대에 적극 지원할 계획임

□ ‘19년 9월 노동시장 상황은 취업자수 증가(+34.8만명), 고용률 상승, 실업률 하락 등 고용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모습임

* 15세이상 고용률(‘18.9→’19.9, %): 61.2→61.5(+0.3%p) <9월기준 ‘96년 이래 최고>

* 15~64세  고용률(‘18.9→’19.9, %): 66.8→67.1(+0.3%p) <9월기준 통계발표 이래 최고>

* 실업률(‘18.9→’19.9, %): 3.6→3.1 (△0.5%p)  <9월기준 ’13년 이래 최저>

○ 고용의 질 측면에서, 상용직 근로자가 크게 증가하고 고용보험 피보험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음

* 상용직 취업자 증가(전년비, 만명): (’19.7)43.8 (8)49.3 (9)54.1 <‘14.4월 이래 최대>

*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전년비, 만명): (’19.6)53.0 (7)54.4 (8)54.5 (9)50.9

□ 9월 취업자 증가(+34.8만명)는 ‘보건복지’(+17만명), ‘전문과학’(+8.3만명), ‘숙박음식’(+7.9만명), ‘예술스포츠 여가’(+7.5만명) 등 ‘서비스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ㅇ ‘보건복지업’ 취업자 증가(+17만명) 중, 노인일자리 사업 대상인 65세이상 취업자 증가분은 +7.4만명*에 불과함

* 65세 이상 보건복지업 취업자 증가분 전체를 노인일자리로 인한 증가분이라고 가정시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21.3% 수준임 

- 즉, 보건복지업에는 정부 재정지원일자리 외에도 민간 복지수요(보육, 노인복지 등)에 의한 증가도 상당수이므로, 

- ‘보건복지업’ 일자리 전부를 일자리 재정 투입이 중단되면 언제든 사라질 우려가 있는 일자리로 볼 수는 없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증감(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증감(천명)

□ 아울러, 주요 선진국에서도 고령화 등에 따른 사회서비스 수요 확대로 ‘보건복지업’ 고용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ㅇ 우리나라의 ‘보건복지업 취업자’ 비중(약 8%)은 주요 선진국 (약 12~14%)에 비해 낮은 수준임

주요 선진국의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비중(%)
주요 선진국의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비중(%)

문의 :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총괄과(044-202-7214),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8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