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저소득층·아동·노인에 소비 쿠폰…얼어붙은 소비 되살린다

[코로나19 극복 추경] 민생 안정·소비여력 지원에 2조 9000억원 투입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정부가 코로나19 조기극복을 위한 민생 안정 및 소비여력 지원을 위해 2조 9000억 원을 투입한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11조 7000억원 중 저소득층 소비쿠폰, 노인일자리 쿠폰, 긴급복지 등 취약계층의 생계부담 경감과 소비여력 제고를 위해 2조 9000억 원을 투입한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확정된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침체된 소비 심리 회복의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17일 소상공인 자금 공급 확대, 민생안정자금 증액 등을 포함한 추경은 11조7천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사진은 18일 비교적 한산한 모습을 보이는 대형마트.(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 17일 소상공인 자금 공급 확대, 민생안정자금 증액 등을 포함한 추경 11조7000억원이 확정됐다. 사진은 18일 비교적 한산한 모습을 보이는 대형마트.(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먼저 저소득층 소비쿠폰은 기초수급자 137만 7000가구와 법정 차상위계층 31만 가구 대상으로 확대돼 4개월간 총 1조 242억 원이 지급된다. 2인 가구 기준 생계·의료급여 수급자에게는 월 22만 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는 월 17만 원씩 지원된다.

특별돌봄 쿠폰은 아동수당 대상자에게 지역사랑상품권(1인당 10만 원)을 4개월간 263만 명에게 총 1조 539억 원을 지급한다.

일자리 쿠폰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중 보수 30%를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수령하면 20% 상당의 인센티브를 지원(1281억 원)한다. 예를 들어, 현재 27만 원의 월급을 받는 노인일자리 공익활동형 참여자는 현금 18만 9000원과 상품권 14만 원을 합쳐 총 32만 9000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고효율 가전제품을 구매하면 구매가격의 10%를 환급받을 수 있다. 개인별 한도는 30만 원이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