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대통령실 "한미 정상회담, 3대 목표 성과 거둬…'동맹 현대화' 진전"

대통령실 '3실장', 워싱턴 현지 브리핑…"양국 비서실장 간 소통채널 구축"

2025.08.26 정책브리핑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대통령실은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경제·통상 분야 안정화, 국익에 부합하는 동맹 현대화, 새로운 협력 분야 개척 등 3대 목표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정상외교를 수행 중인 강훈식 비서실장·위성락 국가안보실장·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워싱턴DC 소재 방미 기자단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한국프레스센터가 마련된 호텔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8.25(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한국프레스센터가 마련된 호텔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8.25(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위 실장은 먼저 "경제·통상 안정화 세부내용에 대한 협의 과정은 남아있다"면서도 "전체적으로 투자, 구매, 제조업 협력에 대해 정상 차원의 논의가 있었고 앞으로 후속 협의가 진전될 것이라 경제·통상 분야의 안정화가 한 단계 진전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어 '동맹 현대화' 협상과 관련해서도 "일정한 진전이 있었다"며 "동맹의 발전 방향, 우리의 국방 역량을 발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의 협의가 있었고 공감대도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CSIS 연설에서도 국방비 증액 등 우리가 한반도 안보를 지키는 데 더 많은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다만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관련 논의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의제에 오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영역으로의 협력 확장에서는 조선·원자력 분야를 중심으로 양측의 논의에 큰 진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HD현대와 서버렛스캐피탈 간 미국 조선소 현대화 등 공동 투자 프로그램 마련이 논의됐고, 두산에너빌리티와 엑스에너지는 SMR 상용화 협력에 합의하는 등 조선, 원자력, 항공, LNG, 핵심광물 등 5개 분야에서 2건의 계약과 9건의 MOU 체결이 이뤄졌다.

위 실장은 "이외에도 일본을 거쳐서 미국을 방문하는 것이 한일 관계의 획기적인 개선, 나아가서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가고자 하는 이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높이 평가했다"고 전했다.

이어 브리핑에 나선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진행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이뤄진 경제협력 논의에 대해 설명했다.

김 실장은 특히 금융패키지와 관련해 "양국은 조선 분야 최대 1500억 달러를 포함 에너지, 핵심광물, 배터리, 반도체, 의약품, AI, 퀀텀 컴퓨팅 등 전략 산업 강화를 지원하는 데 금융 패키지를 활용하기로 했다"며 "구속력 없는 MOU로 금융패키지 조성과 운영을 규정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큰 틀에서 양국 간 합의가 상당 부분 진전된 만큼 앞으로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을 중심으로 금융위원회,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이 참여하는 실무 TF를 구성해 세부적인 실행 방안을 미측과 계속 더 논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양국 대통령의 비서실장 간 핫라인 구축에 대해 설명했다. 

강 실장은 "지난 통상 협상 이후에 양국 대통령 회담을 준비하면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문제 논의를 하기 위한 핫라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 "그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를 받고 있는 수지 와일스 비서실장이 적합하다고 판단해 2주 전부터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강 실장은 "일주일 전 수지 와일즈 비서실장과 면담 일정을 확정했지만 경제, 안보, 관세 등 여러 협상의 여러 주체들이 준비하는 협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양국 비서실장은 그 일정을 공개하지 않고 진행해왔다"며 "오늘 오전 10시 30분부터 40분간 백악관에서 비서실장은 같이 만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경제통상, 외교 안보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협상 전반에 대해서도 양국의 비서실장은 심도 있게 논의했으며, 협상 타결의 동력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서로 간의 협조를 요청했다"며 "추후 비서실장 간의 채널을 통해서 계속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