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난달 취업자 16만 6000명↑…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고용률·경활률, 8월 기준 역대 최고치…제조·건설·청년 고용 어려움은 지속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올 들어 취업자는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용률과 경제활동증가율은 8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10일 지난달 취업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만 6000명 늘어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고, 1~8월 기준으로는 17만 8000명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5 완주군 일자리 박람회장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5 완주군 일자리 박람회장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로 전년대비 0.1%p, 15~64세 고용률은 69.9%로 0.1%p 상승했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4.6%로 0.2%p, 실업률은 2.0%로 0.1%p 상승했다.

15세 이상 경활률·고용률과 15~64세 고용률은 8월 기준 역대 1위를 기록했으며, 1~8월 경활률(64.7%)·고용률(62.8%)·15~64세 고용률(69.7%)도 같은 기간 기준 역대 1위다.

고용률은 연령별로는 30대(80.8%, +0.5%p)와 40대(79.9%, +0.5%p), 60세 이상(47.9%, +1.1%p)에서 상승했고, 청년층(45.1%, -1.6%p)은 하락했으며, 50대(77.5%, 0.0%p)는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46만→48만 4000명)이 보건복지업(26만 3000→30만 4000명)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됐으며, 최근 부진했던 숙박음식업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 등으로 전월 대비 개선됐다.

제조업(-7만 8000→-6만 1000명)은 고용 감소세가 지속됐으나 감소폭은 축소됐고, 건설업(-9만 2000→-13만 2000명)은 입주물량 감소 영향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농림어업(-12만 7000⟶-13만 8000명)은 강우 등 기상 영향으로 10만 명대 감소했다.

지위별로는 상용직(31만 9000→34만 8000명)이 증가했고 임시직(1만 6000→-1만 2000명)·일용직(-4만 8000→-6만 7000명)은 감소했다.

청년은 취업자 수 감소폭이 확대(-15만 8000→-21만 9000)되고 전문과학·정보통신업 증가세 축소 등으로 고용률 하락폭이 확대되는 등 고용여건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청년 '쉬었음' 인구는 1만 4000명 줄어 4달 연속 전년대비 감소했다.

정부는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등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 핵심과제를 적극 추진해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소비심리 개선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차질 없이 지급하고 추석 민생안정대책도 조속히 마련한다.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해 피해기업 대상 정책자금 지원을 강화하고, 산업과 고용위기 선제 대응지역에 대한 지원에도 힘쓴다.

건설경기 보완을 위해 지난달 발표한 지방 부동산 수요 보완과 SOC 신속 집행, 공사비 부담완화 등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아울러, 청년 AI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 취업준비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구직·쉬었음 청년 대상 고용서비스를 고도화해 청년 고용여건 개선 노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인력정책과 (044-215-8532),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8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