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각 기관별로 흩어져 제공되던 기후위기 적응 관련 정보가 한눈에 확인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일괄 제공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운영 예정으로, 폭염·홍수·가뭄 등의 기후위기 예측 정보와 그에 따른 농수산물 생산량 및 재배환경 변화 등 기후위기 적응 정보에 대한 대국민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1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오는 23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금환승 기후에너지환경부 차관이 충북 청주시 일대에서 하천정비사업 및 빗물받이 준설현장, 맨홀 추락방지시설 등을 점검하고 있다. 2025.7.9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번 시행령은 이상기후에 적극 대응하고 기후위기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기존 '기상정보 관리체계'를 '기후위기 감시예측 관리체계'로 확대·개편하고,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 플랫폼'을 구축·운영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이번 시행령 개정에 따라 기존 기상정보관리체계를 이상·극한기후 대응체계인 기후위기 감시예측 관리체계로 확대하고,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적응 정보를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 플랫폼' 내에서 일원화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그동안 기상청은 각종 기상현상에 대한 관측·예보 체계인 기상정보 관리체계를 구축해 운영했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폭우·태풍·폭염·한파 등의 이상·극한기후 현상이 잦아지며 현행 관리체계로는 기후위기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이번 개정으로 이상·극한기후를 감시·예측하고 지역별·분야별 기후위기 현황을 파악해 미래의 변화 경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후위기 감시예측 관리체계를 구축해 운영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은 올해 물환경 및 해양수산 분야를 시작으로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오일영 기후부 기후에너지정책관은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기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면서 "앞으로도 기후위기 대응기반을 강화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의 실행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후에너지정책과(044-201-6652), 기후적응과(044-201-6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