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119구조본부 소방헬기가 응급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사진=소방청 제공)
소방청은 추석 연휴 동안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며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켰다고 14일 전했다.
연휴 기간 위급상황 발생 때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을 204명(60.4%) 보강하고,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를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해 운영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활용한 적극적인 병원 선정으로 구급현장과 의료기관 간 중추적 조정 역할을 했다.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 등으로 의료기관 이송이 필요하지 않은 비응급환자에게는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대처 방법을 안내했다.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은 모두 5만 6151건, 일평균 8022건으로 평시(4616건)보다 73.8% 증가했다.
가장 상담이 많았던 날은 6일 추석 당일로, 상담 항목별로는 병의원 안내 59.8%,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이었다.
또한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당직 현황과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 공유하며 중증환자 발생 때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 역할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구급대 간의 유기적 협조 체계가 원활히 가동됐다.
이러한 협력 체계로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 소생에 잇달아 큰 역할을 했다.
경북에서는 진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한 배뇨장애 및 의식저하 소아(20개월, 남) 환자와 장중첩증이 의심되는 소아(7세, 남) 환자를 서울·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을 선정해 소방헬기로 긴급 이송했다.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 이송과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해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고,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를 해경과 협력해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해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게 했다.
소방청은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며, 의료기관은 환자를 우선 수용해 평가 및 응급처치 뒤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이송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소방청 119구급과(044-205-7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