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IMF,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0.9%로 상향 전망…내년 1.8%

세계 경제성장률은 올해 3.2%, 내년 3.1% 예측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보다 0.1%p 높은 0.9%로 전망하고 내년은 올해보다 대폭 높인 1.8%로 7월 전망을 유지했다. 

기획재정부는 국제통화기금이 지난 14일 '10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제통화기금은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와 재고 조정·무역경로 재편 등을 통해 보여진 경제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높은 3.2%로 예측했으며, 내년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을 7월 전망보다 0.1%p 올려 0.9%로 전망했다.

내년은 올해보다 대폭 상향된 1.8%로 예측해 7월 전망을 유지했으며, 이는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궤도로 복귀할 것을 전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보다 0.1%p 높은 1.6%로 수정했으며, 내년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1.6%로 예측했다.

[그래픽] IMF 2025년 세계·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변화(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그래픽] IMF 2025년 세계·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변화(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가별로는 미국의 성장률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으로 올해와 내년 모두 0.1%p 상향해 각각 2.0%, 2.1%로 조정했다.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7월 전망보다 0.1%p 높여 4.2%, 내년은 기존과 동일한 4.0%로 전망했다.

중국은 조기 선적, 재정 확장정책이 무역 불확실성·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함에 따라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지난 7월 전망 수준인 4.8%와 4.2%를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국제통화기금은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면서,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과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다만 무역 갈등이 완화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하면서 AI 도입으로 생산성을 향상할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문의 :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 국제통화팀(044-215-484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