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APEC 계기 K-수출 집중 지원…역대 최대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

글로벌 바이어사 70개국 1700여 개·국내 기업 4000여 개 사 참가
수출상담 1만 건 이상, 계약·MOU 3억 5000만 달러 규모 체결 예상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역대 최대 규모인 70개국 1700여 개 글로벌 바이어사와 국내 수출기업 4000여 곳이 참가하는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 막이 올라 역대 최대 K-수출 세일즈 시동을 걸었다.

산업통상부는 21일 킨텍스에서 '2025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 개막식을 열고 다음 달 7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2025 수출 붐업코리아 Week 개막식'.(ⓒ뉴스1, 산업통상부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5 수출 붐업코리아 Week 개막식'.(ⓒ뉴스1, 산업통상부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붐업코리아 수출상담회는 2015년부터 개최해 온 국내 최대 수출상담회이며, 산업부는 수출-지역경제 동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이 행사를 중심으로 전국 30여 개 산업전시회와 지역 문화·관광을 연계하는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는 APEC 정상회의 국내 개최를 맞아 세계의 관심을 대한민국 수출과 지역으로 모으기 위해 행사 규모를 대폭 확대했다.

우선, 지난해보다 70%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인 70개국 1700여 개 글로벌 바이어사가 방한한다.

또한, 지난해 20개에 그쳤던 연계 전시회는 올해 28개로 늘었으며, 전자·반도체·미래차·조선해양·바이오·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분야가 참여한다.

올해 연계 전시회는 수도권 한국전자전과 반도체대전, 충청 오송 화장품뷰티엑스포, 영남 대구FIX와 부산 국제조선해양산업전, 호남 광주 빅스포와 목포 남도국제미식박람회 등이다.

국내 수출기업도 30% 이상 늘어난 4000여 곳이 상담에 참여해 1만 건 이상의 수출상담이 이뤄지고 역대 최대인 3억 5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과 MOU 체결이 예상된다.

이어서, 산업 전시회를 통한 수출 촉진과 지역 문화·관광을 통한 내수 활성화를 함께 달성하기 위해 정부, 지자체, 협회 및 전시장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해외무역관에서는 지역 수요에 맞춰 바이어를 모집하고, 국내에서는 지자체와 전시장, 전시산업진흥회 등 유관기관이 원팀으로 지역전시회 방문과 문화·관광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또한, 지난해 관광공사 중심으로 운영했던 블레저(Business+Leisure) 프로그램에 더해 올해는 지자체·전시장이 함께 기획한 프로그램이 추가되었다.

수도권 한강크루즈·한복체험, 영남 경주문화 투어·치맥 페스티벌, 충청 전통주·문화재 체험, 호남 해상케이블카·남도미식 투어 등 다양한 지역 문화관광 프로그램으로 해외 바이어의 방한 만족도를 높이고 대한민국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더불어, 붐업코리아 수출상담회에는 AI·데이터 등 첨단산업과, 소비재·서비스 등 한류 관련 산업 전시관도 구성하고, CES 혁신상을 받은 지능형 로봇 안전진단 솔루션(시에라베이스), VR 기반 중장비 시뮬레이터(심지), AI기반 맞춤형 향수 조향 장치(디지털센트) 등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영국 최대 방산기업 BAE 시스템즈, 자동차 기업의 대명사 GM, 아프리카 최대 전자기업 엘라비, 튀르키예 재계 1위 그룹 조선사 RMK 마린 등 글로벌 대형 바이어도 대거 참석한다.

행사장에는 '원스톱 수출애로 컨설팅관'을 구성해 관세, 인증, 물류, 금융 등 수출 현장애로 상담을 진행한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붐업위크 테마관, 기업전시관, 상담관 등을 방문해 수출상담 현장을 살피고, 기업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눴으며, 붐업위크 테마관에서는 부산 국제조선해양산업전(벡스코) 현장을 연결해 연계 전시회 상황도 점검했다.

여한구 본부장은 "수출 붐업코리아 위크가 우리 기업의 혁신 역량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기업인의 열정과 정부의 지원이 결합해 K-기업의 브랜드 파워를 세계에 알리고, APEC을 넘어 글로벌 도약의 발판이 되도록 정부도 끝까지 함께 뛰겠다"고 밝혔다.

문의 : 산업통상부 무역정책관 무역진흥과(044-203-403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