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같은 유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달 31일까지 전국 데이터센터 178곳을 대상으로 특별소방검사를 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특별검사는 공공 및 민간 데이터센터의 화재안전 수준을 정밀 점검하고, 대형 재난으로의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체계적 대응체계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한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서 소방당국 관계자들이 소실된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반출 작업을 하고 있다. 2025.9.27.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점검대상은 지능정보화 기본법, 정보통신망법, 방송통신발전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 전산실 바닥면적 500㎡ 이상 또는 수전설비 용량 40㎿ 이상 시설로, 중앙 12곳·지방 166곳 등이다.
소방청은 배터리 분야 전문가, 소방기술사, 전기안전공사 등 관계기관이 합동 특별소방검사반을 중앙과 지방으로 나눠 운영하고, 구조안전·전기·소방설비·피난방화 등 분야별 세부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점검할 예정이다.
중점 점검사항은 ▲배터리 적재하중 및 진동·충격에 대한 구조 안전성 ▲저장장소 온도(23±5℃) 및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작동상태 ▲전선·케이블 피복 손상 여부 및 접지시설 관리 상태 ▲스프링클러설비 등 소화설비 작동 상태 ▲전산실과 배터리실(UPS실) 분리 및 방화구획 유지 여부 등이다.
소방청은 적발한 안전 관련 불법행위는 무관용을 원칙으로 과태료 부과 등 엄정한 행정제재를 하고, 점검 결과를 토대로 시설별 위험도 분석과 개선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점검 결과는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공유해 데이터센터 화재안전관리 강화 종합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데이터센터는 국가 핵심 기반시설로, 단 한 번의 화재라도 국가정보통신망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이번 특별소방검사로 취약요인을 선제적으로 제거하고 안전한 정보기반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