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남에게 인정받는 사람이 ‘금수저’

[청년희망아카데미 멘토 특강] (주)코글로닷컴 이금룡 대표이사

2016.09.27 정책기자 김하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미래의 나에 도전하세요!”
“끊임없이 자신을 업그레이드하세요.”  
“남들보다 많이 듣고 고민해본 사람이 인정받게 될 겁니다.” 
 

지난 9월 22일, 청년희망아카데미 기업 CEO 특강에서는 ‘미래의 나에 도전하자’를 주제로 마케팅 컨설팅 회사 ‘코글로닷컴’을 운영 중인 이금룡 대표이사(전 옥션 대표)의 강연이 열렸다. ‘미래의 나에 도전하라니?’ 대체 무슨 말일까. 심상치 않은 주제에 이끌려 이금룡 대표이사의 강연장을 찾았다.
 

미래에 나에
‘미래의 나에 도전하자’를 주제로 열린 이금룡 대표이사의 강의.


‘미래의 나에 도전하자’는 말은.
지금부터 끊임없이 자신의 능력을 키우세요. 매일 학습하세요. 단순히 공부를 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에게 무엇이 부족한지를 깨닫고 채우세요. 지금까지는 수학적 사고가 중요했지만 이제부터는 우뇌의 사용, 창의적인 발상이 중요해질 겁니다. 지금부터 준비해야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다가올 미래에 어떻게 하면 내가 주인공이 될 수 있을지 고민하세요.

취업할 청년들이라면.

저는 대학교 4학년 때 구직광고 보고 원서 내는 사람이라면 성공할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야구 선수는 대부분 고등학교 때 뽑힙니다. 자신이 앞으로 뭘 할 지, 어떤 기업에 가고 싶은지 미리 정해서 대비를 해둔 사람이 취업이 빨리 됩니다. 자신의 지식, 경험을 하루빨리 축적하세요.

 

강의
‘제3의 물결’을 설명하는 이금룡 대표이사.


이금룡 대표이사는 대학 졸업 후 산업은행에서 근무하다 무역상사로 이직했다. 당시 최고로 잘 나간다는 상사였지만, 이금룡 대표이사는 인터넷 시대로의 변화를 읽고 옥션을 만들었다. 이런 자신의 경험담과 앨빈 토플러의 저서 ‘제3의 물결’을 설명하며 강연을 이어갔다.

 

청년들이 꿈을 가져야 하는 이유

꿈이 있는 사람, 꿈이 없는 사람은 차이가 있어요. 꿈은 인생의 설계도입니다. 설계도를 갖고 있으면 아무리 힘이 들어도 미래를 향해 조금씩 나아갑니다.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겠다는 목표를 갖고 나아가세요. 대기업에 취직하면 다 될 것 같죠? 지금의 40, 50대를 보세요. 은퇴하고 나면 뭘 해야 할 지 모릅니다. 새로운 걸 못하고 어떻게든 전 직장과 관련된 거 하려고 합니다. 기업에 기대고 갇혀서 사는 공간형 인재가 되지 마세요. 여러분은 전체적인 변화를 읽고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내가 지금 청년이라면.

벤처회사에 들어가 창업멤버로 일을 하고 싶습니다. 영업을 해서 고객을 만나는 일을 하고 싶어요. 사업을 성공시킨 사람은 고객을 만나본 사람입니다. 고객을 만나보면 사업의 길이 보여요. 설령 실패해도 그건 좋은 경험이 될 겁니다. 고객의 욕망이 뭔지, 고객의 패턴이 뭔지 알아보세요. 이걸 아는 사람이 시장에서 이깁니다. 고객의 욕망과 니즈를 아는 것이 앞으로 성공의 열쇠가 될 거에요.

 

청년들이 갖췄으면 하는 것이 있다면.

자기 나름대로의 기준, 법을 가지세요. 예를 들면, 저는 어떤 경우에도 술을 취할 정도로 마시지 않습니다. 또 매일 신문 4개를 스크랩하고 세상의 변화를 감지하려고 해요. 잘 살펴보면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만의 기준, 법이 있어요. 삶의 기준, 생활의 법칙을 만들어 지키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강의
이금룡 대표이사 강의 모습.

 

청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

저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는 사람이 금수저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려면 지식과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끊임없이 자신을 업그레이드하세요. 부족한 것이 있다면 그걸 채우기 위해 학습하세요. 단순히 자기 대학 강의만 듣지 말고 K-MOOC 강의, 무료 온라인 대학강의도 들으세요. 남들보다 많이 듣고 고민해본 사람은 면접이든 회사에서든 인정받는 사람이 될 겁니다.

 

청년시절 가장 아쉬운 것이 있다면.

일하느라 바빠서 고전을 못 읽은 것이 너무 아쉽습니다. 지금은 문학, 역사, 철학 책을 꾸준히 읽고 있어요. 역사는 과거의 실패, 성공의 방법을 알려줍니다. 내가 해보지 않더라도 경험의 교훈을 줘요. 역사 책을 꼭 읽으세요. 철학은 데카르트, 칸트, 니체, 소크라테스 책을 꼭 읽어보세요. 생각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문학은 상상력입니다. 문학에는 이 세상을 뛰어넘는 상상력이 담겨 있어요.많은 문학을 읽고 상상력을 키우세요.



김하늘
정책기자단|김하늘happy-holiday@daum.net
정책기자단 2년차 청년기자입니다. 제 글에는 정책에 대한 경험과 고민이 담겼으면 합니다. 정책이 진행돼가는 길목에서 정책을 지켜보고, 더 나은 정책이 될 수 있는 길을 찾아보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