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문제가 장기화되고 있다. 청년실업률이 8~9%를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초년생들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대통령직속청년위원회가 지난 2016년 발표한 ‘사회초년생 주거실태 및 인식조사’에 따르면, 사회초년생들의 월세보증금은 평균 1,215만 원이며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평균 월세는 35.3만 원이며 수도권은 37.6만 원, 비수도권은 31.1만 원이다. 올해 최저시급 기준 월 130만원 정도를 월급으로 받는 사회초년생에게 높은 월세는 큰 부담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세후 월평균 소득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22.0%로 나타났지만, 초기 사회진입자인 19~24세의 경우 25.3%로 가장 높았다. 또한 소득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경우도 약 15%로 조사됐다. 따라서 현재 혼자 사는 사회초년생의 76.4%는 전·월세에 부담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사회초년생의 전·월세 부담을 덜고자 ‘행복주택’을 운영하고 있다. 행복주택이란, 철도부지와 도심 유후부지를 활용해 지어지는 임대주택으로, 본래 이름은 희망주택이었지만 국민행복시대라는 국정 비전에 맞춰 행복주택으로 명명됐다.
 |
행복주택의 다양한 전용면적.(출처=LH) |
행복주택은 도시 내부에 지어져 교통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좋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행복주택 주변에는 도서관과 어린이집, 체육시설과 같은 주민 편의시설도 같이 설립되는데, 정부는 올해까지 총 15만 호의 행복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행복주택은 주로 대학생과 신혼부부와 같은 사회초년생 등의 젊은 계층에 80%, 노인 계층에 10%, 취약계층에 10%를 배정하고 있다.
이렇듯 사회초년생들에게 맞춰진 행복주택이니만큼 인기가 좋다. 위 조사결과에 따르면 행복주택에 입주하고자 하는 의향은 89.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에 대해 전체 82.6%가 ‘저렴한 임대료’를 꼽았는데, 행복주택의 임대료는 전용면적 16㎡(대학생)의 경우 월 6~13만 원, 전용면적 36㎡(신혼부부)은 월 8~33만 원으로 시중보다 50%이상 저렴하다.
전용면적에 따라 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각종 행복주택지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서울 수서역 인근에 있는 ‘LH행복드림관’을 방문하면 된다. 전용면적 16㎡부터 전용면적 36㎡까지 다양한 면적에 따라 공급되는 방을 만나볼 수 있다.
 |
서울 강남구 수서역 근처에 위치한 LH행복드림관. |
사회초년생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는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이 오는 12~16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모집은 서울, 경기, 부산 등 전국 13곳, 5,293호다, 과거와는 달리 청년창업인과 예술인, 프리랜서도 청약 가능하며 공공임대 중 최초로 모바일 앱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 최대로 보급되는 서울 오류지구(890호)는 신혼부부특화단지며 수원 광교(204호)는 경기도청 신청사 예정지인 광교신도시가 자리 잡고 있다. 수원 광교의 경우에는 경기도가 출산장려를 위해 전용면적 36㎡이상의 투룸형으로 지어 신혼부부에게 집중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의정부 민락2는 유일한 경기북부 지역으로 민락신도시 안에 지어져 서울 강북과 경기 일산을 출퇴근하는 사회초년생에게 유용하다.
이중 필자는 민락지구와 오류지구 두 곳을 다녀왔다. 먼저 민락지구는 의정부시 낙양동 735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버스 10분 이내에 의정부경전철 어룡역이 위치해있다. 또한 서울 강남으로 가는 3600번 광역급행버스가 있고, 국도대체우회도로 민락IC를 이용해 서울 노원까지 20분만에 주파할 수 있다. 현재 민락지구는 공사가 한창이며 오는 11월에 입주가 시작된다.
 |
의정부 민락지구의 모습. 공사가 한창이다. |
오류지구는 서울 구로구 오류동역에 지어지기 때문에 도심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경인로를 따라 다양한 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1호선 오류동역이 바로 인접해있기 때문에 인천과 부천, 신도림, 서울역 등 도심과 인천으로의 접근성이 매우 좋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눠보면, 수도권에는 서울 오류, 서울 가양, 의정부 민락2, 인천 서창2, 성남 단대, 수원 광교, 안양 관양, 화성 진안지구가 있다. 비수도권으로는 대구 테크노, 부산 용호, 목포 용해, 익산 인화, 춘천 거두2지구가 있다.
 |
역시 현재 공사가 한창인 서울오류지구. 옆에 보이는 전철은 1호선이다.(출처=LH) |
행복주택의 입주자격에 대해 자가진단을 하고 싶다면 행복주택 홈페이지(http://www.happyhousing.co.kr/)에 들어가 자가진단을 클릭하면 된다. 자가진단 서비스는 입주자격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실제 입주는 각 사업지구 모집공고에 따라 청약신청을 해야 한다.
주거비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사회초년생들에게 안성맞춤인 행복주택. 사회초년생들이 행복주택 안에서 행복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자유로운사고, 냉철한 분석, 공정한보도! 대진대 학보사인 대진대신문사 편집장 조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