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평창 테스트이벤트 2월달 경기가 3일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을 시작으로 4월까지 쭉 이어집니다. 올 겨울, 한기를 화끈하게 녹여줄 평창 테스트이벤트를 맞아 대한민국 정책기자단도 함께 달려봅니다.<편집자 주>
‘스키점프’를 영화 ‘국가대표’로 알았다. ‘봅슬레이’도 마찬가지다. 무한도전을 통해 처음 접했다. 알고 보니 두 종목 모두 경이롭거나 짜릿했다. 스포츠는 그렇다.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강해지는 모습 자체로 몹시 흡입력이 있다. 승부를 떠나서 말이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빠르게 다가오는 중이다.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을 제외한 종목들은 덜 친숙한 게 사실이다. 생소한 경기가 많아서 일거다. 그 중 이름마저 낯선 종목 중 최고를 꼽으라면 ‘노르딕 복합’이 될 거다.
‘노르딕 복합’은 노르딕 스키의 한 종목이다. 한번쯤 들어봤을 ‘알파인 스키’와 뭐가 다른지 알 필요가 있다. 알프스 산간인 높은 산을 내려오면 알파인 스키, 북유럽의 완강한 산을 내려오면 ‘노르딕 스키’다. 여기서 ‘크로스컨트리’와 ‘스키점프’ 두 가지를 합친 종목이 바로 ‘노르딕 복합’이다. 뭔가 힘들어 보인다. 알고 보면 힘든 경기, 맞다.
 |
노르딕 복합 경기는 스키점프를 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치른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
근거가 있는 말이다. 지난 소치동계올림픽 때, 미국 USA투데이가 21개 종목의 난이도 중, 일반인들에게 끝내주게 힘든 종목으로 노르딕 복합을 선정했다. 두 번째로 어려운 종목은 스키점프였으며,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은 각각 18위와 14위를 기록했다. 피겨스케이팅은 20위를 차지했다.
노르딕 복합은 스키 중 가장 어려운 종목임에는 틀림없다. 높은 기술과 균형감각, 대담성을 필요로 하는 ‘스키점프’와 강인한 체력을 요해 스키의 마라톤이라 불리는 ‘크로스컨트리’를 한 선수가 모두 치러야 한다. 때문에 노르딕 복합의 우승자는 ‘최고의 스키 선수’로 여겨지기도 한다. 아직 남자 선수만 존재하는 것도 특징이다.
19세기 노르웨이에서 시작됐다. 스키 축제에 참가한 선수들이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스키점프를 종합적으로 겨뤘던 것에서 노르딕 복합이 탄생했다. 1892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첫 경기가 열렸고, 1924년 제1회 프랑스 샤모니동계올림픽대회부터 정식 종목이 됐다.
총 9개의 메달이 달려있는 노르딕 복합의 경기 방식을 알아보자. 이틀에 걸쳐 진행되는 경기 첫 날, 스키점프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음 날,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진행한다. 1950년대까지는 크로스컨트리를 먼저 한 뒤 스키점프를 했다. 하지만, 크로스컨트리 결과를 뒤집기가 어려워 선수들이 스키점프를 소홀히 여긴다는 지적에 따라, 1952년부터 순서를 바꿔 실시했다.
 |
남자선수만 존재하는 노르딕 복합, 우승자는 최고의 스키 선수로 인정받는다.(출처=정책브리핑) |
개인경기는 ‘스키점프 노멀힐 개인+크로스컨트리 스키 10km’, ‘스키점프 라지힐 개인+크로스컨트리 스키 10km’의 2개 종목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노멀힐(75~99m)과 라지힐(100m이상)은 도약부터 착지 구간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비행 거리와 자세, 착지로 점수를 내는 스키점프에서 가장 우수한 선수가, 크로스컨트리 경기에서 맨 먼저 출발한다. 스키점프에서 1점 차이가 날 때마다 4초씩(최대 10분) 출발이 늦어진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10km는 2.5km의 구간을 4바퀴 돌아야 하며, 앞뒤만이 아니라 좌우로도 눈을 지칠 수 있는 프리스타일 주법으로 주행한다.
제15회 1988년 캐나다 캘거리올림픽에서 단체전이 시작됐다. 4명의 선수로 진행되는 단체전은 ‘스키점프 라지힐 개인+크로스컨트리 스키’로 진행된다. 스키점프에서 좋은 성적을 낸 팀이 먼저 출발하고, 1점당 1.33초씩 늦게 출발해 한 선수가 5km를 돌고, 터치라인 내에서 다음 선수에게 인계해 결승선을 제일 먼저 통과한 선수의 팀이 우승이다.
노르딕 복합은 스키점프 경기장과 크로스컨트리 경기장을 연계해 사용한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테스트이벤트인, ‘2017 FIS(국제스키연맹) 노르딕복합 월드컵대회’는 평창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센터와 스키점프센터에서 2월 4일~5일 펼쳐진다. 지난 달 9일부터 스피드스케이팅과 더불어 무료입장권 예매를 한 바 있다.
역대 금메달을 가장 많은 차지한 국가는 발상지인 노르웨이다. 핀란드와 오스트리아가 그 뒤를 쫓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일본이 1992 알베르빌, 1994 릴레함메르 대회에서 단체전 우승을 차지했다. 우리도 해볼 만하다는 확신이 드는 지점이다.
 |
노르딕 복합 경기는 스키점프의 결과에 따라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진행한다. 스키점프 거리에 따라 노멀힐과 라지힐로 나뉜다. 노르딕 복합 경기가 열리는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출처=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
한국에서는 아직 노르딕 복합 경기가 열린 적이 없다. 2013년, 대한스키협회는 스키점프 대표팀에서 성장 가능성이 큰 선수로 노르딕 복합 대표팀을 결성했다. 점프를 할 줄 아는 선수가 크로스컨트리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에서다.
2015년 크로스컨트리 국가대표 선수와 감독을 지낸 박기호 감독을 노르딕복합의 감독으로 선임, 스키점프 출신인 아들 박제언(한체대)이 노르딕 복합에 출전하면서 첫 국가대표 감독, 선수 부자가 탄생했다. 우리는 동계올림픽 노르딕 복합 종목에 출전한 선수가 아직 없지만, 스키점프 선수 출신인 박제언, 김봉주(한체대) 선수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알고 봐도 생소할 수 있는 종목, 노르딕 복합. 더 멀리 날고 잘 착지하며, 빨리 결승선을 통과하는 선수가 우승인 거다. 스키를 신고 하늘을 나는 모습은 경이롭고, 턱까지 차오른 숨을 내쉬며 산길을 가로지르는 경기는 다이내믹하기에 충분하다.
생각해 보면, 피겨도 우리나라에선 불모지였다. 김연아 선수가 알려지기 전까지는 말이다. 인기가 덜한 종목이라도 선수들은 상상 이상의 노력을 하며 올림픽을 준비할 거다. 올림픽 국가대표 모두에게 관심과 응원을 보내야 하는 이유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로, 노르딕 복합의 성장을 기대한다. ‘노르딕 복합’ 종목은 한국의 새로운 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