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학교 앞에선, 시계를 천천히

어린이보호구역 안전 대책 시급… 피해자 2명 중 1명, 도로 건너다 사고

2017.03.15 정책기자 최종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새학년, 새학기가 시작되는 3월이다. 겨울은 지나고 봄 기운이 느껴져 모두에게 새롭게 다가오는 시기다. 

초등학교 시절 새학기라는 들뜬 마음에 학교 주변을 뛰어다니며 놀던 기억이 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찔했던 상황이 참 많았다. 공사 현장에서 술래잡기를 하던 중, 오가는 차량을 미처 발견하지 못했다면 대형사고가 날뻔 했던 일이다.

학교에선 항상 손을 들고 횡단보도를 건너라 교육 받았지만 이마저도 지키지 않은 게 다반사였다. 친구가 빨리 오라고 해서 황급히 달려갔는데 금세 신호가 바뀌어 운전자가 급정거한 일이었다.

성인이 된 지금, ‘그 땐 왜 그랬을까’ 생각하며 안전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우기도 하고, 어릴적 필자와 같은 아찔한 장면이 우리 주변에서 벌어질 땐 안타까움이 들기도 한다.

■ 2명 중 1명, 도로 건너다 사고

대구의 한 초등학교 내 어린이보호구역.
대구의 한 초등학교 내 어린이보호구역.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13~2015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는 총 14,340건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 가운데 123명이 사망하고 14,583명이 부상했다고 한다.

지난해 3월에만 총 1,249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겨울철(12월~2월)의 평균 발생건수 752건에 비해 66%가 증가한 수치다. 유독 새학기가 되면 학교 주변 교통사고가 급증했다는 의미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 내 사고가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민안전처가 교통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 43곳의 피해자 사고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 교통사고 88건 가운데 46건(52.3%)은 도로횡단 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5건은 보도 통행(5건), 길 가장자리 통행(5건), 차도 통행(5건) 등을 하다 사고가 난 것으로 확인됐다.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한 안전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때문에 국민안전처는 대책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교통사고 다발구역 43곳을 선정해 교육부와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민간 전문가 등과 시설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보다 촘촘하고 세밀한 제도개선으로 어린이들의 안전이 강화되길 기대해본다.

■ 안전표지, 주차금지구역 설정 등 개선 필요

어린이들이 등교하는 모습.
어린이들이 등교하는 모습.
 

필자가 거주하고 있는 대구 북구 한 초등학교의 경우, 주변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다. 골목길을 벗어나면 4차선 대로가 보이며, 곳곳에 주택들이 촘촘하게 조성돼 오가는 차량들이 많은 편이다.

아침 8시 전후가 되면 이곳은 ‘러시아워’를 방불케 한다. 출근하는 직장인의 차량과 버스와 택시 등이 엉켜 자칫 사고가 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날 자녀를 바래다 준 김미영(35) 씨는 “최근 학교에서 폭력, 교통사고 등이 많이 발생된다는 언론보도를 접하면서 걱정이 많아졌다.”며 “학교 주변에 안전시설을 많이 설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골목길 사이로 차량이 많이 오고가는데 운전자들의 주의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대구의 한 초등학교 골목길 사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다.
대구의 한 초등학교 골목길 사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다.

학교 정문에는 차량 서너대가 주차되어 있었다. 안전장치가 설치된 인도로 걷고 있다 드나드는 차량으로 이리저리 피해하는 어린이들도 쉽게 볼 수 있었다.

때문에 학교 주변 골목길 내 주차금지는 물론 안전표지, CCTV 확대 등이 필요해 보였다. 노면표시와 교차로 구조개선 등 어린이보호구역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시설 설치도 한 방법이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한다. 특정인에게만 해당되는 일도 아니다. 어린이보호구역이라면 더욱 그렇다.

비단 어린이들만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하기 보다 학교와 선생님, 운전자, 부모 등이 관심을 갖고 안전을 위해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할 시기다. 강화된 안전 교육과 장비로 어린이들의 등하교길이 보다 편안해지길 바란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최종환 jhlove2412@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