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을 부르는 입은 다르지만 아리랑을 통해 모두가 하나가 된다는 의미의 ‘이구동성(異口同聲) 아리랑’을 주제로 2017 국민대통합 아리랑 전국순회공연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국민대통합 아리랑 전국순회공연은 춘천시와 평창군, 경상남도 밀양시와 김해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보성군, 경기도 고양시 등에서 7차례 개최됩니다.
 |
2017 국민대통합 아리랑. |
그 중 6월 17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열린 아리랑 공연에 다녀왔습니다. 일산 공연은 우리나라 3대 아리랑에 속하는 정선·밀양·진도 아리랑의 발상지인 강원도·경상남도·전라남도 주최로 열렸습니다.
아리랑만 부르는 공연을 볼 수 있다는 게 흥미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아리랑은 아마 해외에서 듣는다면 눈물이 핑 돌 정도로, 뭔가 애잔한 마음이 들게 하는 민요인데요.
식전 행사로는 관람석에서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밀양 아리랑, 경기 아리랑을 부를 수 있는 사람을 무대로 나오게 해 아리랑을 부르게 하는 이벤트 공연이 펼쳤습니다.
가요나 요즘 유행하는 댄스 음악에 관심이 많은 줄 알았는데, 우리의 전통 음악에도 관심이 많다는 것을 공연장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
관람객이 무대에서 아리랑을 부르는 모습. |
사회는 배우 이재은 씨가 맡았습니다. 이재은 씨 역시 국악을 아끼고 사랑하며, 우리 소리에 강한 매력을 느낀다면서, 이 자리에서 사회를 보는 게 뜻깊고 행복하다는 인사말을 전했습니다.
 |
사회를 맡은 배우 이재은 씨. |
아리랑은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국민대통합 아리랑은 유네스코 유산 등재를 기념으로 2013년 시작된 전국순회공연입니다.
이날 공연은 제1부, 아리랑의 향연, 2부, 아리랑 고개를 넘어, 제3부는 국민대통합 아리랑으로 진행됐습니다.
 |
아리랑과 비보이가 협연하는 창조적인 작품 공연. |
아리랑 시나위 공연입니다. 아리랑 선율을 시나위 형태로 연주하는 공연인데, 기존의 전통적인 아리랑과 새롭게 창작된 아리랑을 함께 연주하고, 새 아리랑 부분에서 비보이가 협연하는 창조적인 작품입니다. 아리랑과 비보이가 콜라보를 이뤄 공연을 펼치니, 참으로 흥미로웠습니다.
 |
긴 아리랑. |
밀양 아리랑, 상주 아리랑,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공주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해주 아리랑, 본조 아리랑, 문경새재 아리랑 등 전국의 아리랑을 하나의 테마로 엮어 선보인 아리랑 향연입니다.
긴 아리랑도 있었는데, 저는 이런 아리랑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경기민요 아리랑보다 곡의 길이도 길고 느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
정선 아리랑. |
정선 아리랑 공연인데, 정선 아리랑은 강원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됐습니다.
정선 아리랑은 ‘아라리’라는 이름으로 정선을 비롯한 강원도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전래되어 온 민요인데, 애처로움과 구슬픈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비기능요(非機能謠)에 속하나, 모찌기와 모심기, 그리고 밭을 맬 때 노동요의 구실도 해 힘든 노동을 잠시나마 잊게 해줬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 모내기를 할 때면 모를 심으면서 어르신들이 가끔 합창하듯 부르던 아리랑 노래가 떠오릅니다. 할머니께서 약주를 좋아하셨는데, 술을 드시면 흥에 겨워 아리랑 노래를 부르며 춤을 덩실 덩실 추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
공주 아리랑. |
나이가 들면서 어린 시절 추억도 소중하고 국악, 농악, 민요 등 우리네 전통음악이 좋아집니다.
아리랑은 삶을 희로애락을 다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리랑 공연을 볼 때마다 떠오르는 추억과 영상의 효과까지 더해져 즐거움을 배로 누리게 합니다.
제2부는 짧은 아리랑 뮤지컬로 우리 삶의 희로애락을 아리랑 고개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바람과 구름, 태양의 이미지를 빗대 우리네 삶을 표현했습니다.
 |
통일 아리랑 공연. |
 |
통일 아리랑. |
귀순한 북한 인민배우 출신 김훈, 평양코리아 예술단 김금순, 김진숙의 통일 아리랑 공연입니다. 북한의 주민들의 힘든 삶을 아리랑에 담아 영상으로 보여주며 아리랑을 불러 더 통일이 빨리 됐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합니다.
2017 국민대통합 아리랑은 지난 5월, 밀양과 광주에서 공연을 펼쳤고, 이날 고양 공연에 이어 평창(9월 17일), 춘천(9월 22일), 보성(10월 20일), 김해(10월 24일)에서 순회공연을 펼칠 예정입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홍웅기 dmsrl6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