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블라인드 채용이면 해 볼 만할 것 같은데~

문재인 대통령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제에 대한 지인들 반응 들어보니

2017.06.26 정책기자 이현주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여름방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지만 대학가는 여전히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시험도 끝났고, 놀 시간만 남았는데 무슨 일이냐고 의문을 갖는 이가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지금 대학생들은 예전만큼 한가하지 않다. 역대 최악의 청년 실업난이 말해주듯 도서관에는 발 디딜 틈이 없다. 양손에 책과 노트, 연필을 쥐어진 채 분주하게 움직이는 이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숨죽이며 공부하는 자리에선 누구 하나 잡담하지 않는다. 

도서관에서 온라인 강의를 듣고있는 사람들.
도서관에서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는 사람들.
 

열람실에 들어가 보니 책상에는 토익 책과 공무원 수험서 등이 널부러져 있다. 출판사만 다를 뿐 학생들이 공부하는 분야는 비슷해 보였다. 대부분 올 하반기 ‘반드시 취업’이라는 공통의 목표가 있었다. 바늘구멍 통과하기만큼 어려운 취업 성공을 위해 학생들의 열정은 방학에도 식을 줄 몰랐다.

어느 날 필자는 도서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요즘 뭘 준비하냐고 물었다. 아니나 다를까 하나 같이 ‘취업 준비’였다. 대부분 열심히 공부하고 있지만 ‘이게 정답일까’ 라는 걱정이 많아 보였다. 

김천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으로 취업을 희망하는 최 모 학생은 “공공기관에 이력서를 제출하려면 학점 4점대와 토익 800점, 관련 자격증 3개는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쟁쟁한 취업 준비생들과 비교하면, 아무리 준비해도 부족한 게 많은 것 같다.”고 털어놨다. 때문에 그는 “올 하반기까지 준비해보고 안되면 되는대로 취업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얼마 전 서울에 있는 한 회사에서 면접을 본 김 모 학생은 “함께 면접 본 사람들이 모두 서울권 학생들이었다. 괜히 자신감이 떨어져 내년에 대학원이라도 갈까 고민중이다.” 말했다.

학력을 무시할 수 없는 한국사회에서 ‘지방대’라는 꼬리표는 일종의 아킬레스건으로 통한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거나 자신의 역량보다 한 단계 낮은 회사에 지원하는 일이 흔하다. 

초등학교부터 중·고등학교, 대학과 대학원까지 줄곧 지방에서 공부한 필자는 누구보다 지역 학생들의 사정을 잘 알고 있다. 처음에는 열정과 자신감이 있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불안감에 휩싸인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가령, 학생들 사이에선 어느 기업이 수도권 학교 졸업생만 뽑는다거나 특정 학교에 가산점을 준다 등의 이야기가 돈다. 대부분 근거 없어 보이지만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겐 괜한 걱정이 드는 건 사실이다. 면접에 떨어졌으면 ‘학교 탓’이라는 자조 섞인 목소리를 내는 학생도 있다.

공공기관, 취업시 학력기재 안 한다

후배들의 걱정을 조금이라도 해소할 방안이 추진될 예정이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2일 “올해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 채용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자기소개서에 기본적으로 적는 학력 칸을 없애 실력위주로 인재를 뽑는다는 취지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블라인드 채용 관련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블라인드 채용 관련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청와대)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채용하는 분야가 일정 이상의 학력이나, 스펙, 신체조건을 요구하는 특별한 경우 외에는 이력서에 학벌이나 학력, 출신지, 신체조건 등 차별적 요인들은 일체 기재하지 않아야 한다.”며 “명문대 출신이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과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발맞춰 국회에서도 지난 23일 ‘블라인드 채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채용 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개정안은 ‘차별적인 개인신상정보의 요구 금지’ 조항을 신설해 구직자에게 채용예정분야의 업무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정보를 요구할 수 없도록 했다.

학력, 출신지, 신체조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신상정보들이 이에 해당되며 구인자는 이를 요구하거나 입증자료로 수집해서는 안 된다. 차별적 요인들을 걷어내 공정하고 객관적인 채용을 도모하자는 취지라고 할 수 있다.

공무원직 입사 시험에는 2005년부터 학력란을 기재하지 않도록 했고, 고용노동부도 2007년부터 학력, 성별, 출신지 등을 삭제한 표준이력서를 만들어 사용을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이를 사용하는 곳이 드문 상황이다.

지방대 학생들, 기대감 커져

블라인드 채용에 대해 후배들도 반가워하는 눈치였다. 앞서 이야기를 나눈 김 모 학생은 “사실 지방대 학생들은 취업 정보를 얻는 것부터 쉽지 않다.”며 “기업들의 취업설명회가 대부분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개최되기 때문에 남들보다 발 빠른 취업 준비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고 말했다.

카페에서 블라인드 채용 관련 대화를 나누고 있는 필자의 모습
카페에서 블라인드 채용 관련 대화를 나누고 있는 필자의 모습.
 

최 모 학생은 “지역의 많은 공공기관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하면 대부분 수도권 사람들로 채워진다.”며 “이들은 막상 주말만 되면 서울로 가기 때문에 사실상 균형발전이 안 되는 것 같다는 소식을 접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를 활성화를 위해 블라인드 채용을 많이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대로 공공기관에서 블라인드 채용이 활성화 될 경우 우리사회의 고질적인 병폐인 ‘학벌논쟁’이 해소될 전망이다. ‘좋은 학교 나와야 성공한 선후배가 끌어준다’는 그들만의 공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잘 정착되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쌓는 것 외에 다른 걱정거리가 생기지 않았으면 한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이현주 ad_mvp@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