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나라~

재10회 치매극복의 날 행사 현장 참석기

2017.09.25 정책기자 홍웅기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나라’

치매극복주간을 맞아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는 치매 인식개선과 치매극복 캠페인 확산을 위해 ‘제10회 치매극복의 날’ 행사를 9월 18일 코엑스에서 개최했습니다.

2017 치매극복 박람회장 입구.
2017 치매극복 박람회장 입구.
 

나이가 들어가면서 치매에 대한 두려움도 있고, 주위에 치매에 걸려 고생하는 분들을 보면 겁이 나기도 합니다.

치매에 걸리기엔 젊은 나이인데, 외출을 하면 집을 못 찾아오는 일도 발생하고, 물건을 사러 가서는 그냥 들어오는 지인이 있습니다. 어떤 날은 괜찮다가, 어떤 날은 했던 말을 기억 못하고 해, 가족들이 힘겨워 합니다.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닙니다. 치매예방부터 돌봄에 대해 미리 알아보기 위해 ‘치매극복의 날’ 행사장을 찾았습니다.

이날 행사장에는 정말 많은 관람객들이 방문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정말 많은 관람객들이 방문했다.
 

정말 많은 어르신들이 행사장을 찾았습니다. 치매에 대해 관심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날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치매 국가책임제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올 12월부터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 설치, 중증 치매환자의 의료비 본인부담률 10% 인하, 치매 진단 검사에 보험 적용 등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치매 문제에 대해 국가가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를 보여 참 든든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치매 파트너 캐릭터 단비.
치매파트너 캐릭터 단비.
 

치매파트너 캐릭터 단비입니다. 꿀벌과 꽃이 서로에게 꼭 필요한 존재인 것처럼 치매 파트너와 치매 환자간의 유기적 의미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날 치매극복 박람회에서는 치매자가검진, 예방법 알아보기, 나에게 힘이 되는 제도 및 서비스 알아보기, 걱정 없이 치매환자 돌보기, 2017 치매극복 실버합창대회, 치매극복 토크콘서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습니다.

치매극복 실버합창대회에 참가한 시니어 합창단.
치매극복 실버합창대회에 참가한 시니어 합창단.
   
2017 치매극복 실버합창대회에 참가한 시니어 합창단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습니다. 노래가 치매 예방에 아주 효과적이라는 건 다들 알고 계시겠죠?

가상 치매 체험.
가상 치매체험.
 

가상 치매체험을 하는 관람객입니다. 가상체험을 활용해 치매증상을 경험하면서 치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치매 체크하는 모습.
치매체크하는 모습.
 

치매체크를 해 보고 본인한테 맞는 예방법을 알아 볼 수 있는데, 많은 어르신들이 체크를 해보며 치매에 대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단비 페이퍼 토이 만들기.
단비 페이퍼토이 만들기.
 

치매파트너 캐릭터인 단비를 활용해 단비 타투 스티커 붙이기, 단비 페이퍼토이 만들기를 하는 모습입니다.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고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단비 페이퍼토이입니다.

치매체크 앱을 체험해보는 모습.
치매체크 앱을 체험해보는 모습.
 

치매위험검사 ‘치매체크’, 돌봄서비스 ‘동행’, 실종치매예방 ‘집으로’ 앱이 통합되고 더욱 기능이 강화된 치매체크 앱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앱을 잘 사용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직원들의 도움으로 사용법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치매극복 토크콘서트 모습.
치매극복 토크콘서트 모습.
 

치매극복 토크콘서트도 열렸습니다. 여러 행사를 다니면서 콘서트나 세미나를 종종 봐 왔지만 치매콘서트만큼 인기가 많은 건 처음 봤습니다.

치매 관련 상담을 받고 있는 어르신들.
치매 관련 상담을 받고 있는 어르신들.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많이 웃고, 많이 외우고, 노래 부르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매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치매 가족 돌보기, 치매 예방법, 우울증 테스트 등 치매 관련 모든 상담은 치매상담콜센터 1899-9988입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홍웅기 dmsrl65@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