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성화봉송로를 추적하다

101일간의 여정, 이색 성화봉송로를 따라가보다~

2017.11.12 정책기자 류태종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지금 이 순간에도 평창동계올림픽 성화는 우리나라 어딘가쯤 돌고 있다.

지난달 1024일 그리스에서 채화된 성화가 먼 길을 달려 드디어 대한민국 땅에 도착했다. 우리나라를 돌고 돌아 마침내 내년 2월 9일, 개회식이 열리는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으로 향하게 되는 신성한 불꽃, 성화. 이렇게 대한민국에 도착한 성화는 어디쯤 돌고 있을까? 

평창동계올림픽의 성화 봉송 로고이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평창동계올림픽 성화봉송 로고.(출처=www.pyeongchang2018.com)
 

성화 봉송로는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띄는 도시 및 마을을 포함하며, 특히 대표적인 자연환경, 건축물, 역사 및 문화유적지를 지나가며 개최국 고유의 문화를 소개하는 하나의 의식이기도 하다. 

평창동계올림픽 봉송에 담긴 의미이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평창동계올림픽 성화봉송에 담긴 의미.(출처=www.pyeongchang2018.com)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의 경우는 111일 인천에서 성화봉송을 시작하여 제주-부산-울산-거제-통영-창원-창녕-사천-진주-여수-순천-강진-목포-담양-곡성-무주-전주-부여-대전-세종-오송-진천-충주-단양-봉화-안동-대구-포항-수원-서울-파주-연천-화천-고성-횡성-삼척-정선-평창으로 이어지는 2018km의 대장정을 하게된다.

인천을 출발하여 평창으로 향하는 1018km의 봉송로이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인천을 출발하여 평창으로 향하는 2018km의 봉송로.(출처=www.pyeongchang2018.com)
 

이번 성화봉송에는 무려 7500명의 주자들이 참여한다. 피겨여왕 김연아를 비롯해 이봉주, 이상화 등의 스포츠 스타들과 유재석, 수지 등의 연예계 스타들, 신청을 통해 뽑힌 수많은 국민들이 함께한다. 

봉송에는 많은 스타들과 국민들이 참여한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성화봉송에는 많은 스타들과 국민들이 참여한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성화를 전달하는 과정에도 다양한 수단을 사용해 재미와 그 지역의 특색을 담았다. 첫 봉송로인 제주에서는 해녀가 성화봉을 들고 제주 앞바다를 건넜다. 다음 부산에서는 동해바다를 배경으로 요트 봉송이 이뤄지기도 했다. 봉송로를 따라가다 보면 다양하고 특이한 여러 봉송 행사들이 눈에 띈다.

제주에서는 해녀의 봉송을 볼 수 있었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제주에서는 해녀의 성화봉송을 볼 수 있었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13일 통영에서는 한산도 앞바다에서 한산도대첩을 기념하며 거북선을 통한 봉송이 예정되어 있고, 남해바다를 따라 가면 여수 앞바다를 가로지르는 해양 케이블카 봉송도 볼수 있다.

여수를 지난 봉송은 곡성 기차마을에서 지금은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증기기관차 봉송이 진행된다. 전남을 지나 충청도로 올라가면 부여에서는 물결이 굽이치는 백마강을 따라 황포돛배를 타고 봉송이 이뤄진다.

부산의 요트봉송 이다. (출처=www.pyeongchang2018.com)
부산의 요트 봉송.(출처=www.pyeongchang2018.com)
 

과학 기술의 도시 대전에서는 사람이 아닌 로봇이 봉송을 하는 진귀한 장면을 볼 수도 있다. 경기도를 지나 강원도 삼척으로 향하면 푸른 동해안이 펼쳐진 해양 레일바이크를 통한 봉송이 진행된다. 대한민국을 한 바퀴 일주한 성화는 정선에서 한반도 지형을 배경으로 짚와이어를 타고 내려가는 봉송행사를 마지막으로 평창으로 향하게 된다. 

101일 간의 성화봉송 여정에는 각 지역의 성화봉송 문화대축제도 열린다. 인천의 송도 달빛축제공원에서의 축하행사를 시작으로 제주도의 성산일출봉,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 등 한국 각지의 상징적이고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담은 지역들에서 봉송 축제가 열린다.

지난 런던올림픽의 봉송 축하행사이다. 전국 각지에서도 봉송축제가 열릴 예정이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지난 런던올림픽의 봉송 축하행사. 전국 각지에서도 봉송축제가 열릴 예정이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지역축하행사에는 그날의 마지막 주자가 임시 성화대에 성화를 옮기는 특별한 세리머니가 예정되어 있으며 지역문화콘텐츠와 관광자원을 활용한 공연으로 올림픽 문화유산을 창출한다.

지역축하행사의 일정이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지역축하행사 일정.(출처=www.pyeongchang2018.com)

이러한 축하행사는 평창에서 열리는 올림픽이지만 전 국민, 더 나아가 전 세계인이 함께 만드는 축제로 즐길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전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멋과 아름다움 등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이 순간에도 성화 봉송은 진행되고 있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지금 이 순간에도 성화봉송은 진행되고 있다.(출처=www.pyeongchang2018.com)

지금 이 순간에도 성화는 모두를 빛나게 하는 불꽃이라는 슬로건 아래 전국 방방 곳곳을 누비고 있다. 가는 곳마다 성화의 불꽃으로 축제의 열기를 내뿜으며 점점 평창을 향해 다가가는 성화봉송은 최고의 겨울 축제가 될 평창동계올림픽의 장엄한 서막을 알리고 있다.



류태종
정책기자단|류태종rtg0212@naver.com
행복을 만드는 세상입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