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대학 졸업반 정책기자, 취성패 체험기

청년취업성공패키지 1단계 프로그램 직접 체험기

2018.02.06 정책기자 조용무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청년 일자리 문제가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2017년 청년층(15~29) 대상 실업률은 9.9%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다고 한다.

이에 정부에서도 청년 일자리 종합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월 중 대책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올해 대학 졸업반이 되는 필자는 청년정책 중 하나인 청년취업성공패키지에 직접 참여해보기로 했다. 

취업성공패키지는 심화되는 청년 고용문제를 완화하고자 18~34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진단 및 상담의욕증진 및 능력개발알선에 이르는 취업의 전 과정을 통합 제공함으로써청년일자리를 찾아주는 제도이다.

청년취업성공패키지 홈페이지.
청년취업성공패키지 홈페이지.

먼저 취업성공패키지 홈페이지(http://www.work.go.kr/)에 접속해 워크넷에 가입을 해야한다. 가입 후, 청년취업성공패키지 신청하기 버튼을 누른 후 기본정보를 입력한다. 희망위탁기관은 추후 고용센터에 방문할 때 선택해도 된다.

기본정도 입력 후에 아래 부가정보 칸이 나오는데 이곳에서는 실업급여 수급여부와 가구원 수, 건강보험료 납부총액만 필수로 입력하면 된다. 실업한 청년이 아닌 대학생일 경우, 혼돈이 올 수 있는데 수입이 없는 대학생의 경우 실업급여 수급여부에 아니오체크와 건강보험료 납부총액을 0원 그대로 두면 된다. 여기까지 작성하고 개인정보수집 동의 후에 신청완료를 하면 된다.

고용센터에서 열리는 취업지원프로그램
고용센터에서 열리는 취업지원프로그램.

위 과정까지 진행한 후에 본인이 관할에 있는 고용센터에서 전화가 오기를 기다리면 된다. 필자의 경우에는 고용센터에서 전화가 오기까지 이틀이 소요됐다. 

센터 방문시 필요한 서류는 졸업(예정)확인서, 신분증이 필요하다. 청년취업성공패키지는 졸업예정 대학생부터 지원할 수 있다. 졸업예정 대학생의 경우에는 졸업예정확인서, 졸업자의 경우에는 졸업증명서를 민원24 홈페이지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프로그램을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워크넷 회원가입과 구직등록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워크넷 회원가입과 구직등록.


대전고용복지센터 초기상담실
대전고용복지센터 초기상담실.
 

필자는 거주지가 대전이라 대전고용센터에 방문했다. 상담좌석에 앉자 유형1인지 2인지를 묻는다. 필자는 유형2에 속했다.

유형1은 생계급여수급자,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원, 여성가장 등이 속하게 된다.

홈페이지에서 작성했던 것과 비슷한 신청서를 자필로 작성한다. 작성이 끝나면 유형2의 경우, 외부 위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집에서 가까운 곳을 선택하면 고용센터에서의 일은 마무리된다.

대전고용센터  상담부스
대전고용센터 상담부스.

고용센터에서 신청이 끝나고 보통 1주일 정도 외부 위탁기관으로 이관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기다리는 동안 혹시 제대로 신청이 되었는지 궁금하다면 홈페이지 마이페이지-참여현황에서 확인해보면 된다.

그렇게 1주일 후에 필자에게 연락이 왔다. 집에서 비교적 가까운 대전서구자활센터의 상담사와 전화연결이 되었다. 상담을 할 수 있는 일정을 조율하고 상담을 받으러 방문하면 된다.

외부위탁기관인 서구자활센터 방문
외부위탁기관인 서구자활센터 방문.
 

자활센터 담당 상담사를 만나 본격적인 취업성공패키지 1단계가 진행됐다. 취업관련 설문지를 2장 작성한 후 전문상담사와 개인적인 내용에 대한 상담이 이뤄졌다. 취업성공패키지 활동에 있어 상담사와의 정보 공유 관계는 중요하다고 하니 하나라도 더 얻어가려고 노력하자.

전문상담사가 작성하는 초기상담 일지.
전문상담사가 작성하는 초기상담 일지.

1단계(진단·경로설정) 과정에서 집중상담 프로그램을 거쳐 ‘개인별 취업활동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1단계 기간은 약 한 달 가량 진행이 되고 수료를 하면 훈련참여수당으로 일정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직접 경험해보니 보통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심리적으로 불안하기 마련인데 전문상담사와 상담을 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지금까지 필자가 참여했었던 청년취업성공패키지 1단계 프로그램이었다. 기획재정부는 청년실업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 일자리 대책본부를 설치했다고 28일 알렸다.

문재인 대통령의 청년실업에 대한 철저한 지원 약속을 바탕으로 올해 더 많은 청년취업프로그램이 시행돼 필자와 같은 청년들의 일자리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줬으면 좋겠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조용무 ym123a@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