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우리에게 반가운 친구이자 조력자가 되어주는 무인민원발급기. 혹시 여러분은 전국 곳곳에 포진된 무인민원발급기 대수를 알고 있는가? 무려 3,667곳에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돼 있다고 한다.(2018년 1월 기준)
.jpg) |
서울지하철 1호선 외대앞역에 설치돼 있는 무인민원발급기. |
우리는 살아가면서 급하게 민원서류를 떼야하는 순간이 찾아온다. 각종 사유로 병적증명서나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게 된다. 보통은 주민센터에서 발급신청을 하면 되겠지만, 일과중에 시간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에겐 주민센터 방문은 그림의 떡이 될 수밖에 없다.
필자도 급하게 민원서류를 실물로 발급받아야 할 순간이 있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발을 동동 구르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그래서 저녁시간에도 이용할 수 있는 ‘무인민원발급기’가 근로자들에게 ‘가뭄의 단비’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 발급기를 ‘내 주변’에서 찾는 일은 그리 녹록지 않았다.
.jpg) |
포털사이트 다음(daum)에서 ‘무인민원발급기’를 검색하면 위와 같이 자세한 정보가 나온다.(출처=다음 누리집) |
얼마 전, 정부(행정안전부)에서 아주 만족할 만한 정책을 하나 내놓았다. 앞으로 포털사이트 다음과 카카오맵에서 무인민원발급기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행안부는 다음과 카카오맵에 무인민원발급기 위치와 운영정보를 제공키로 했다. 과연 이 서비스가 얼마나 잘 이뤄지고 있는지 필자도 활동하는 구역 중심으로 스마트폰 카카오맵 앱을 구동해 보았다.
.jpg) |
공릉역 주변에 설치돼 있는 무인민원발급기.(출처=카카오맵 앱) |
.jpg) |
내 주변에 있는 무인민원발급기 검색이 가능하다.(출처=카카오맵 앱) |
무척 놀랐다. 이렇게 촘촘하게 무인민원발급기가 있는지 미처 알지 못했다. 무인민원발급기가 있는 지점을 누르니 정확한 주소와 운영시간이 나와 있었다. 특히, 요즘 스마트폰 지도 앱은 길 안내 기능을 갖추고 있어 길을 잘 찾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jpg) |
무인민원발급기 메인화면. 각종 증명서를 출력할 수 있다. |
.jpg) |
무인민원발급기에서도 주변 발급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카카오맵 앱을 활용하여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무인민원발급기에 도착했다. 발급 가능한 다양한 민원서류들이 메인화면에 나타나 있었다. 일부 민원서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서류들은 무료 발급이었다. 유료인 서류들도 소액이라 큰 부담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jpg) |
본인확인을 위한 지문인식 사용안내. |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민원서류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주민번호 입력과 지문인식을 하면 된다. 특히, 지문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에는 주민등록증 발급을 오래 전에 받았거나 지문이 변형된 경우로, 주민센터에서 재발급받으면 잘 인식된다고 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jpg) |
대한민국 정부를 한 번에 만나는 통합창구, 정부 24.(출처=정부 24 누리집) |
.jpg) |
정부 24 누리집의 ‘정부서비스’ 코너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출처=정부 24 누리집) |
.jpg) |
정책, 정보도 손쉽게 확인 가능하다.(출처=정부 24 누리집) |
정부가 각종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고 있는 ‘정부 24’ 누리집의 ‘민원 24’ 항목을 클릭하면 다양한 민원서비스가 등장한다. 한편, 정부 24는 ‘대한민국 정부를 한 번에 만나는 통합창구’ 라는 기치를 내걸고 있다.
여기에 접속하면 생애주기별 서비스, 나의 생활정보(연금, 휴면예금, 여권만료일, 입주자순위, 예방접종, 교통위반, 면허갱신일, 예비군훈련 등)를 공인인증서 로그인 한 번으로 확인 가능하다. ‘정책/정보’ 코너에서는 각종 국정알림과 지자체 소식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jpg) |
정부 24 누리집 ‘민원 24’ 항목을 클릭한 후, ‘고객센터’ 를 누르면 전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출처=정부 24 누리집) |
참고로, 민원 24(PC)에서도 각종 민원서류 발급이 가능하니, 민원서류가 필요한 시간이나 물리적 여건 등을 잘 고려하여 발급받으면 될 것이다.
.jpg) |
위의 표시된 항목을 누르면 된다.(출처=정부 24 누리집) |
.jpg) |
설치장소는 엑셀파일로 제공된다.(출처=정부 24 누리집) |
그림에 표시된 경로로 들어가면 엑셀파일을 하나 열 수 있다. 여기서 전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 전수(全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엑셀파일에서 ‘Ctrl, F’를 같이 누르면 특정 검색어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이 나오고, 찾고자 하는 주소를 입력하면 자신 주변 또는 원하는 장소의 무인민원발급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jpg) |
엑셀파일에는 설치위치와 주소, 사회적 약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 설치 여부가 담겨 있다. 파일 갱신도 얼마 되지 않았고(1월 31일), 무인민원발급기의 총 대수는 3,667대였다.(출처=정부 24 누리집, 무인민원발급기 설치장소안내 엑셀파일) |
뿐만 아니라, 운영시간, 등기부등본/가족관계(재적) 발급여부, 장애인 키패드 여부,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청각장애인 표지판 안내, 점자라벨, 이어폰 소켓, 휠체어 탄 사용자 조작여부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자세한 사항들이 잘 정리돼 있다. 공인인증서 적용 등의 번거로움으로 민원서류 PC 발급을 어려워하고, 일과 중 주민센터 방문 또한 어려운 분들은 무인민원발급기 위치를 잘 파악해두고 있으면 무척 유익할 것이다.
.jpg) |
부천 7호선 상동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 |
이번 서비스는 별도의 예산과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고 이뤄진, 적극적인 사회혁신 사례로 볼 수 있다. 정부가 정책을 집행할 때, 국민의 세금이 활용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세금이 적재적소에 사용되어야 하고 누수 또한 없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이번 ‘국민이 알면 편리한 민원정보서비스’는 세금이 소용되지 않고 민간기업과 적극적으로 협업한 아주 바람직한 사례로 보여진다.
이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에서 정책이 잘 발현된 것이라 생각되며 앞으로도 이런 우수한 사례를 끊임없이 발굴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제 17-1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전 형입니다. 외교, 통일, 그리고 박사과정 분야인 한국어교육에 깊은 관심이 있습니다. 유익한 정책이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