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하늘도 애도의 눈물을…

제38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현장 취재기

2018.05.23 정책기자 안혜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하늘도 애도의 눈물을 흘렸던 걸까?

지난 18일, 전남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제38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렸다. 비가 오는 궂은 날씨였지만, 이날 행사에는 이낙연 국무총리를 포함해 각 부처 장관들, 희생자 유가족, 시민 등 약 5천여 명의 사람들이 기념식장을 찾았다.

5.18은 전북, 전남 등 전라도 지역 사람들에게는 일종의 ‘한’으로 남아있다. 그날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지만, 지역민인 필자 역시 이날만 되면 가슴 한 구석이 많이 아려온다. 우리나라 민주화의 초석이 됐던 5.18민주화운동을 기리기 위해 직접 기념식 현장을 찾아봤다. 

기념식을 가득 채운 사람들.
기념식장을 가득 메운 사람들.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행사는 추모 공연, 헌화 및 분향, 경과 보고, 국민의례, 기념사, 기념 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오월 광주, 정의를 세우다!’를 주제로 열린 기념식은 광주의 아픔에 머무르지 않고 평화의 역사, 민주주의의 이정표로 자리매김한 5.18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가 됐다.

이낙연 총리의 기념사.
이낙연 총리의 기념사.
 

이낙연 국무총리는 기념사에서 “문재인 정부 들어 제정된 5.18 특별법에 따라 진상규명위원회가 9월부터 가동되어 진실을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과거 정부의 범죄적 행태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사실이 확인되는 대로 정부의 정리된 입장을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이낙연 총리는 이날 기념사 도중 울컥하는 모습도 보였다.

행방불명된 이창현 군과 그를 찾아다닌 아버지의 사연을
행방불명된 이창현 군과 그를 찾아다닌 아버지의 사연을 ‘씨네라마’ 형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추모 공연에는 5.18 당시 시민 참여 독려를 위해 가두방송을 진행했던 전옥주 씨가 출연해 당시 상황을 재연했고, 5.18 당시 행방불명된 이창현 군과 아들을 찾아다닌 그의 아버지 사연을 ‘씨네라마’ 형식으로 전달했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이창현 군의 아버지인 이귀복 씨의 증언이 이어졌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행사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윤상원 열사와 박기순 열사의 영혼 결혼식을 치르며 만들어진 노래로, 5.18민주화운동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1997년 이후 2008년까지 매 기념식에서 제창됐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2년차부터, 문재인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8년 동안 제창이 아닌 합창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임을 위한 행진곡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오월의 피와 혼이 응축된 상징이라며 제37주년 기념식부터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도록 지시했다. 당일 기념식에 노래가 울려 퍼지자 가슴이 벅차올랐다.

행불자 이재몽 군의 묘.
행불자 이재몽 씨의 묘.


공식 행사가 모두 끝난 후, 희생자 묘역에서 행불자 유가족의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 행불자 이재몽 씨의 어머니 차초강 씨는 “아들이 지게를 짊어지고 가고 있었는데 군인이 지게를 뺏더니 아들을 차에 태웠다.”라며 당시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와봐야 아무 것도 없지만, 그래도 궁금해서 자주 묘역을 찾는다. 너무 오래돼서 이제 심정이랄 것도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참배객 강혜민 씨는 “한국 근현대사 중 가장 알아보고 싶은 부분이었는데, 기념식 참여로 몰랐던 부분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됐다.”며 “우리나라의 민주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역사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날의 의미를 오래 기억해 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를 느낄 수 있던 자리였다. 38년 전, 목숨을 바쳐가며 민주주의를 위해 싸운 그들을 우리는 영원히 기억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안혜란 ah6038@naver.com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