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초·중·고서 커피 ‘퇴출’

오는 9월 14일부터 전국 초·중·고 모든 학교서 커피 등 고카페인 제품 판매 금지

2018.06.25 정책기자 박은영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쉬는 시간이 짧아도 커피는 마셔야 했다. 종이 울리는 순간, 교실을 뛰쳐 나와 4층 계단과 운동장을 격렬히 가로질렀다. 본관 지하 매장의 자판기 앞에 서기 위해서다. 그 믿음직한 자태가 시야에 들어와도 기운이 빠지는 건 이미 줄을 선 아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길게 늘어선 줄은 공중전화 앞 뿐이 아니었다.

최악은 따로 있었다. 내 순서가 돼 동전을 자판기에 넣으려는 순간 수업종이 울리고, 난 또 다시 운동장을 가로지르고 4층 계단을 뛰어 오르는 거다. 커피 한 잔 마시기가 쉽지 않은 인생이었다. 지금도 커피하면 내가 생각난다는 동창들이 있으니, 나도 어지간히 커피를 즐겼던 것 같다.

오는 9월 14일부터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전국 모든 초·중·고 모든 학교에서 커피판매가 금지된다. (출처=KTV)
오는 9월 14일부터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전국 모든 초·중·고 모든 학교에서 커피 판매가 금지된다.(출처=KTV)
 

카페인은 몸에 좋지 않지만 커피는 맛이 있었다. 그 맛있는 커피를 아들(18) 녀석이 마신다. 그것도 심하게 말이다. 시험기간이면 잠들지 않기 위해서란다. 이미 많은 친구들이 고카페인 우유를 마시고 있으며, 친구들의 생생한 후기까지 무용담처럼 늘어놨다.  

듣도 보도 못한 고카페인 우유가 생소했다. 그 제품은 귀여운 스누피를 내세운 채 극단적인 양의 카페인을 품고 있었다. 스누피의 속 상황을 모르는 아이들이 혹시 그 우유를 덥석 집어 마시는 것을 상상하니 남의 일 같지 않았다. 

걱정됐다. 포털 속, 졸지 않기 위해 고카페인 우유를 섭취한 아이들의 후기는 차고 넘쳤다. 거의 부작용이었다. 속이 울렁거리거나, 심장이 빨리 뛰거나 집중이 더 안 되거나 흥분상태가 지속돼 며칠 간 잠을 못 이뤘다는 등의 내용이었다. 좌우지간 고카페인 식품은 청소년에게 적당하지 않았다. 

각 학교에서는 그간 교사들을 위해 판매했던 자판기 커피 포함 카페인인 함유된 모든 음료 판매를 할 수 없다. (출처=KTV)
각 학교에서는 그간 교사들을 위해 판매했던 자판기 커피 포함 카페인이 함유된 모든 음료 판매를 할 수 없다.(출처=KTV)
 

마시지 말라는 말에도 천천히 나눠 마셔 괜찮다던 아들도 별수 없었다. 결국 새벽까지 잠을 못 이뤄 밤을 새웠다고 했다. 고카페인의 위력을 알기에 더 이상 안 마실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고카페인 식품은 이뿐 아니었다. 갖가지 커피음료 외에도 대놓고 고카페인을 자랑하는 음료는 쉽게 구입할 있었고, 한 번씩 아들의 책상에 다 마신 고카페인 음료 캔이 뒹굴고 있었다. 

9월 중순부터 전국 초·중·고 모든 학교에서 커피 판매가 금지된다고 한다. 식약처는 학교에서 커피 등 고카페인 함유 식품 판매를 금지하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오는 9월 14일부터 시행한다 밝혔다. 

지금도 학교에서는 어린이 기호식품으로 지정된 탄산음료, 혼합음료, 유산균음료, 과·채 주스, 가공 유류 중 ‘고카페인 함유표시’가 있는 제품은 팔지 못한다. 이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자판기나 일반 커피음료도 팔지 못하게 된 거다.

식약처는 통상 체중 60kg의 청소년이 하루에 커피음료 1캔, 에너지음료 1캔만 마셔도 카페인 최대 일일섭취권고량인 150mg을 초과하게 된다고 밝혔다.(출처=KTV)
식약처는 통상 체중 60kg의 청소년이 하루에 커피음료 1캔, 에너지 음료 1캔만 마셔도 카페인 최대 일일섭취 권고량인 150mg을 초과하게 된다고 밝혔다.(출처=KTV)
 

사실, 청소년들의 카페인 섭취가 늘어나는 시기는 시험기간 뿐 아니다. 최근 중고생들의 동아리 모임 장소는 커피전문점이며, 아이들이 다니는 독서실에서는 믹스커피가 무료로 제공돼 하루에도 몇 개씩 마실 수 있다고 했다. 뿐만 아니다. 각성을 유발하기 위해 즐겨 마시는 ‘붕붕드링크’도 있었다. 에너지 음료와 자양강장제, 비타민C, 이온음료 등을 섞은 것으로, 이걸 마시면 기분이 붕붕 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카페인 섭취로 겪을 수 있는 부작용은 총체적이다. 순간 집중력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람에 따라 신경이 예민해지거나 가슴 두근거림, 두통, 혈압 상승, 불면, 불안, 초조, 위산분비촉진으로 인한 속쓰림이나 각종 미네랄의 흡수를 방해해 카페인으로 인한 부작용이 더 심각할 수 있다.

성장기 청소년은 더 심각하다. 성인보다 카페인 민감도가 훨씬 높고 카페인이 체내에 머무는 시간이 더 길다. 이에 철분 흡수를 방해해 빈혈을 일으키거나 소변을 통한 칼슘 배출을 촉진해 키 성장을 방해한다. 어릴 적 커피를 마시면 ‘키가 안 큰다’는 말을 듣고 자랐지만, 이는 어느 정도 과학적 근거가 있는 말이었다. 또한, 불면증, 신경과민, 기억력 손실, 심한 경우 카페인 중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식약처 자료에 의하면 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는 나날이 줄고 있다.(출처=식약처)
식약처 자료에 의하면 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는 나날이 줄고 있다.(출처=식약처)
 

정부가 지정한 어린이와 청소년 카페인 1일 섭취 권고량은 체중 1kg 당 2.5mg 이하다. 몸무게가 40kg인 청소년의 경우 하루에 100mg 이하, 50㎏인 청소년은 하루 125㎎ 이하를 섭취해야 한다는 얘기다. 고카페인 우유는 500ml에 237mg, 아메리카노에는 최고 150mg의 카페인이 함유됐으니, 아메리카노 한 잔만 마셔도 하루 권고량을 웃도는 수치였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이러한 식품을 사 먹지 않아도 되는 교육환경을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동의한다. 하지만 이는 길게 안고 가야 할 문제다. 마주한 현실은 청소년들이 고카페인에 몹시 쉽게 노출돼 있다는 거며 이는 인체에 득보다 실이 더 많다는 사실이다. 학교 내 카페인 식품 판매 규제가 학생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아울러, 필요한 것은 어른들의 각별한 관심이다. 




박은영
정책기자단|박은영eypark1942@naver.com
때로는 가벼움이 힘이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