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은 농부의 발걸음을 듣고 자란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팜 농장에서는 그 말이 공허해질 수도 있겠다. 농부가 농장에 없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손끝 하나로 농작물을 관리하는 세상이 멀지 않았기 때문이다.
 |
강원도 평창 딸기농장 ‘심스팜’. |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예비 농업인, 그리고 정책기자단이 참여하는 ‘스마트팜 현장체험 팸투어’ 자리를 마련했다. 우리나라의 농림축산 분야의 스마트팜은 얼마나 스마트할까? 그 궁금증을 스마트팜 현장체험에서 알아가보자.
 |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예비 농업인의 스마트팜 현장체험. |
우선 스마트팜 현장체험에 앞서 스마트팜에 대해 알아보고 가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스마트팜에 대해 이렇게 열거하고 있다. 스마트팜이란 비닐하우스, 축사에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의미한다.
작물의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고 노동력, 에너지, 양분 등을 종전보다 줄일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
강원도 평창 딸기농장 ‘심스팜’의 스마트팜 시설. |
스마트팜 현장체험으로 강원도 평창에서 딸기농장을 운영하는 심스팜을 찾았다. 여름딸기를 재배하는 ICT 사업 농가는 국내에 두 곳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심스팜이다. 이곳 딸기농장은 겨울딸기가 아닌 여름딸기를 생산해 생과일을 백화점이나 브랜드 빵집에 유통하고 있다.
이번 현장체험에는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예비 농업인이 참여했는데, 유독 딸기 재배에 관심을 보이며 심스팜 관계자와 실질적인 질의가 오고 가기도 했다.
 |
스마트폰으로 농작물 관리를 하는 스마트팜. |
 |
컴퓨터로 각종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
심스팜에는 에너지 절감시설로 차광, 보온커튼 등의 장비가 도입돼 있다. 또한 수십 대의 센서와 CCTV, 스마트폰의 연동으로 화재나, 폭설로부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우스 재배가 그러하겠지만 이곳 딸기 재배에도 높은 난방비를 줄이는데 또 다른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KIST) SFS융합연구단 스마트 유팜(SMART U-FARM) 전경. |
두 번째로 한국과학기술원(KIST) SFS융합연구단 ‘스마트 유팜’으로 향했다. 스마트 유팜은 2014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T가 ‘식물 생장에 초점을 둔 식물공장 파일롯 플랜트’ 구축을 위해서 총사업비 10억 원을 들여 KIST 강릉 분원 천연물연구소 내 370㎡ 부지에 3개의 재배실과 1개의 파일롯 테스트용 유리온실 등을 갖추고 있다.
천연 원물을 사용하는 기업에서는 표준화된 원료 확보가 중요하다. 화장품의 미백 성분을 추출하는 인삼에서부터 이고들빼기, 케일, 돌미나리 등의 기능성 작물이 이곳에서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참여기업으로는 아모레퍼시픽, 동아ST, 풀무원건강생활 등이 있으며 이 기업들과 표준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천연물 연구기관으로 앞장서고 있다.
 |
스마트 유팜(SMART U-FARM)에서 연구되고 있는 작물들. |
이어 한국과학기술원(KIST) 스마트팜 솔루션(SFS) 융합연구단 테스트베드 실증팜으로 향했다. 대부분의 작물이 그러하겠지만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작물은 온도, 습도, 양분 등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렇게 추출된 데이터는 작물을 제배하는데 가이드가 되고 위급 시 처방이 되기도 할 테다. 주관적인 농부의 개입이 아닌 정확한 계측을 통한 데이터로 말이다.
실증팜에서 테스트할 기술들에는 작물의 생육계측 및 분석기술, 스마트 관수시스템, 스마트 양배액 처리기술, 스마트 복합환경제어시스템, 스마트 온실작업관리시스템, 에너지 최적관리시스템, 스마트팜 정보활용시스템, 식의약 원료용 기능성 작물 재배기술 등 8개가 있다. 이런 실증팜은 스마트팜 기술을 이용하려는 농업인들에게 교육의 장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KIST) SFS 융합연구단 테스트베드 실증팜. |
이번 스마트팜 현장체험을 통해 스마트한 세상이 내손에서만 있는 줄 알았는데 농업에도 스마트한 세상이 오고 있음을 느꼈다.
한겨울에도 먹을 수 있는 수박에서 뜨거운 여름날 생크림 케이크에 빨갛게 올려질 딸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스마트한 세상이 필요할 테다. 그래서 스마트팜 농부의 발걸음과 손길은 오늘도 바삐 움직인다.
스마트팜 대표 홈페이지 https://www.smartfarmkorea.net/
스마트팜 콜센터 1522-2911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채성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