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중학교 때까지 강릉에서 거주했습니다. 지금은 평창동계올림픽 덕분에 생활 인프라가 많이 확충됐지만, 2010년까지만 하더라도 강릉은 전국에 있는 중소도시 중 하나에 불과했습니다. 도서관은 턱없이 부족해 사설 독서실을 이용해야 했고, 배트민턴을 좋아하는 제게 마땅한 체육·근린시설은 찾기 어려웠습니다.
그렇게 서울로 이사했습니다. 서울은 강릉과 달랐습니다. 지자체마다 최소 1개 이상의 공공도서관이 존재했습니다. 공공도서관이 없는 곳에 작은도서관과 함께 독서실을 운영했습니다. 배드민턴을 칠 장소는 넘쳐났고, 대학교 때 코딩 수업을 배우면서 부족한 부분은 문화센터에서 운영하는 강의를 듣기도 했습니다.
.JPG) |
사당종합체육관. |
제 일상이 편리해진 이유는 생활 SOC로 건립된 다양한 시설 덕분입니다. 그렇다면, 생활 SOC가 어떤 점에서 편리하게 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한 번 들여다볼까요? 작은도서관과 체육센터, 현대화된 시장이 도보 10분 이내에 있는 종욱 씨의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오전 10시, 동작샘터도서관
토요일 아침. 주말을 맞아 분주하게 어디론가 향합니다. 중간고사가 끝났지만 과제 제출을 위해 도서관으로 발걸음을 옮깁니다. 제가 향한 곳은 동작샘터도서관. 동작구 관내에 있는 동작도서관은 대중교통으로 20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어 동작샘터도서관으로 향합니다.
.JPG) |
동작구 내 작은도서관인 동작샘터도서관 |
동작샘터도서관은 월요일에 휴관하고 평일과 주말에는 9시부터 18시, 17시까지 운영됩니다. 대단지 아파트 가운데에 있는 동작샘터도서관은 지역 내 작은도서관으로 지역 주민들이 이용합니다. 도보로 10분이 채 걸리지 않기에 저도 종종 이곳을 찾습니다.
과제를 마친 후 책을 읽습니다. 제 옆에서 공부 중인 친구 이재호 군은 “지역 내 사당솔밭도서관과 동작샘터도서관 두 군데가 있어 친구들에게 물어보고 자리가 있는 곳에 온다”며 “사설 독서실에 가지 않아도 돼 돈을 아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jpg) |
동작샘터도서관에서 책을 고르고 있는 제 모습입니다. |
오후 1시, 사당종합체육관
도서관에서 과제와 책 읽기를 마친 저는 집으로 가 점심을 먹고는 또 어디론가 향합니다. 손에는 배드민턴 채를 들고 친구와 전화 통화를 합니다. 2년 전에 새로 생긴 사당종합체육관에서 배드민턴을 치기로 했습니다. 이곳은 동작구 국민체력센터이기도 합니다.
.JPG) |
사당종합체육관 내부 |
사당종합체육관에서는 농구 경기가 한창입니다. 소방의 날을 맞이해서 서울소방동호회연합회가 주최하는 제3회 소방공무원 농구대회가 열렸기 때문입니다. 비어있는 공간에서 배드민턴을 치다가, 날씨가 괜찮아 근처 공원에서 배드민턴을 치기로 했습니다.
배드민턴에 꽤 자신감이 붙은 저는 친구와 배드민턴을 치면서 연신 스매싱을 날립니다. 집에서 불과 200m 떨어진 곳이라 동생과도 종종 저녁 배드민턴 내기를 하기도 합니다. 생활 SOC 덕분에 공부와 취미 생활 모두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JPG) |
강력한 배드미턴 스매싱도 해봅니다. |
오후 5시, 남성사계시장
운동을 마친 후 부모님 심부름으로 집 근처 시장을 찾았습니다. 집 근처 시장인 남성사계시장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곳입니다. 전통시장의 문제점인 주차장을 확충하고 보도블럭을 설치하면서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제철 과일인 귤을 골라봅니다. 인근 대형마트 보다 값이 저렴해 자주 애용합니다. 맛있는 귤을 주의 깊게 살피면서 바구니에 골라 담습니다. 최근에는 대부분 카드결제가 가능해 체크카드로 귤을 계산합니다.
.JPG) |
남성사계시장에서 귤을 샀습니다. |
생활 SOC로 제 삶이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지루하던 평범한 대학생의 일상을 더 편리하고, 풍요롭게 바꿔준 생활 SOC. 정부는 2019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생활 SOC 예산을 올해보다 50% 늘린 8.7조 원으로 발표했습니다. 국민체육센터를 160곳 신설하고 전국 모든 시군구에 작은도서관을 1개씩 설치한다고 합니다.
생활 SOC는 지역민의 행복도를 확실히 높여줍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로 지역 내에 강릉아트센터와 강릉국민체육센터를 갖게 된 제 중학교 친구들도 가까운 거리에서 문화공연과 체육활동을 마음껏 누릴 수 있게 돼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합니다. 생활 SOC 사업은 행복입니다.
기회는 평등할 것입니다. 과정은 공정할 것입니다. 결과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이런 사회를 꿈꾸는 대학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