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이 두글자 소리만 들어도 숨이 막혀오는 기분을 느끼는 저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취준생으로 살아가는 것은 힘듭니다.
수많은 취업 관련 정보 속에서 내게 맞는 정보도 찾아야 하고, 학원과 자기계발에 돈도 필요합니다. 지친 일상 속, 취업은 먼 미래 이야기 같습니다.
하지만 할 수 있습니다. 정장 입고 출근하는 그날을 생각하며 취준생인 제가 보고 느낀 것들을 바탕으로, 혹시 몰라 다 준비했습니다. 청년취업정보!
.jpg) |
대전 일자리카페 꿈터에서 스터디를 통해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출처=대전 일자리카페 꿈터) |
모의면접, 취업특강이 필요하다면? ‘일자리카페’
일자리카페는 스터디와 상담, 정책 정보 등 취업 관련 다양한 지원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먼저 시작한 일자리카페는 현재 경기도 전역과 대전, 부산 등 대부분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총 74곳을 운영하고 있어 가장 많습니다.
일자리카페는 주로 모의면접과 취업특강, 취업클리닉, 멘토링, 구직활동을 주로 하며, 취업특강의 경우 공채 시즌이 다가오면 해당 공채에 관한 특강도 진행됩니다. 이외에는 스터디룸 같은 공간 제공과 무료 이력서 사진 촬영, 정장 무료대여 등 면접 관련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
대전 일자리카페 꿈터. |
저는 학교(한남대학교) 인근에 조성된 일자리카페를 방문했습니다. 취업의 꿈을 찾으라는 의미에서 이름을 ‘꿈터’ 라고 지었습니다. 대전은 대학로 인근 카페를 선정, 일자리카페로 조성했는데요. 대전 5개 학교(충남대학교, 한남대학교, 우송대학교, 목원대학교, 한밭대학교) 근처에 5곳이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한남대학교 인근 일자리카페는 진로/취업 상담, 직무/기업분석, 입사서류 컨설팅, 면접 컨설팅 등의 진로/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취업특강 토크콘서트, 현장 면접 및 잡 매칭, 취업 스터디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꿈터 내부에는 키오스크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청년정책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특히, 취업 스터디가 눈에 띕니다. 대전의 경우 서울과 수도권과 달리 취업에 관한 네트워크가 빈약해 스터디를 잡기 힘듭니다. 이에 꿈터에서 취업 스터디를 매칭했는데, 현재 일자리카페의 NCS 관련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취업 스터디 모습.(출처=대전 일자리카페 꿈터) |
또 저는 모의면접을 주로 신청합니다. 말이 빠르고 버벅대는 탓에 항상 면접만 들어가면 얼어붙었는데, 모의면접을 통해 발음과 억양을 고치고 있습니다.
.jpg) |
모의면접을 통해 억양과 발음을 고치고 있습니다.(출처=대전 일자리카페 꿈터) |
대학에서 인턴, 취업까지 ‘대학일자리센터’
만약 밖으로 가지 않고 대학 캠퍼스 내에서 취업 준비를 하고자 한다면 ‘대학일자리센터’를 권합니다. 대학일자리센터는 고용노동부와 대학이 함께 협업해 대학 내에 일자리카페 개념의 센터입니다. 현재 전국 60여 대학에서 운영 중인데, 대학생과 지역 청년들에게 개방된 공간입니다.
대학일자리센터는 정부와 각 부처의 취·창업 정책을 홍보하고 있으며, 해외취업 특강이나 공공기관 설명회, 입시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일자리센터의 역할에 설명회를 덧붙인 셈입니다.
 |
한남대학교 대학일자리센터. |
저는 대학일자리센터의 도움을 톡톡히 받았습니다. 뚜렷한 진로와 목표가 없었던 상반기, 대학일자리센터를 통해 꿈과 진로를 찾았습니다. 또 해당 진로와 직무에 맞춰 준비해야 할 자격증을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대학일자리센터를 통해 행정안전부의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대전형 코업(Co-op) 사업에 9월부터 참여할 예정입니다. 일종의 인턴으로 직무경험을 쌓을 수 있게 됐습니다.
 |
상담을 통해 대전형 코업을 알게 됐고, 9월부터 인턴으로 지역 내 기업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
클릭 한 번에 취업 정책을 한 눈에, ‘온라인청년센터’
온라인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뭘 좋아할지 몰라서 다 준비했어’ 라는 글자가 눈에 띄는 곳. 정부의 취업뿐만 아니라 창업, 주거, 복지 등 청년정책을 모은 온라인 청년센터입니다.
온라인청년센터는 실시간 상담과 청년정책정보, 청년공간정보 등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특히 청년정책정보는 전국의 청년정책을 다 모았고, 필요한 청년정책 검색도 가능합니다. 정보의 호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청년센터 홈페이지. |
청년정책정보는 정책 유형과 지자체 정책까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곳에서 잘 모르는 정부와 지자체 정책의 정보와 설명을 얻곤 합니다.
앞서 인턴으로 하게 될 대전형 코업도, 대학일자리센터에서 설명을 듣고, 온라인청년센터에서 검색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온라인청년센터 : https://www.youthcenter.go.kr
 |
지자체 정책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 같습니다. |
하반기 공채가 다가온 지금,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면 일자리카페와 대학일자리센터, 온라인청년센터 등을 잘 활용해 취업에 꼭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전시기획/관광관련 직종에 종사하고 싶은 대학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