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생활을 하다 보면 피할 수 없는 것이 발표이다. 최소 한 학기에 한 번은 발표를 하고, 매번 머리를 쥐어 싸며 자료를 준비한다. 어떤 발표든지 본인의 생각을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듣는 사람들이 납득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객관적인 자료이다. 그리고 그러한 자료는 대개 숫자로 표현된 통계자료가 될 것이다. 통계자료를 찾는 방법은 다양하다. 단순하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원하는 도표, 그래프를 찾을 수 있지만, 출처가 정확하지 않아 신뢰도를 의심할 때가 많다. 신경 써야 할 것이 한둘이 아닌데, 이럴 때마다 난감했다. 그래서 출처를 믿을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통계자료가 있는 사이트가 있으면 좋겠다고 자주 생각해왔다.
.jpg) |
7가지 생애주기 중 최대 2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출처=마이 통계로) |
그러다 발견한 것이 통계청 ‘마이 통계로(My 통계路)’ 서비스다. 지난달 21일부터 통계청에서 제공하기 시작한 ‘마이 통계로’는 생애주기와 관심분야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공간통계 정보를 간편하게 볼 수 있는 서비스다. 공간통계 정보란 통계 정보와 공간 정보가 융·복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도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를 제공했지만, 마이 통계로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이유는 일반 이용자의 보다 쉬운 사용을 위해서이다. 기존의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마이 통계로만의 특징은 생애주기와 관심분야를 선택해 내가 원하는 통계지리 정보를 간편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jpg) |
8가지 관심분야 중 최대 2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출처=마이 통계로) |
생애주기는 ‘영유아/어린이’, ‘청소년’, ‘청년’, ‘장년’, ‘노년’, ‘임신/출산/육아여성’, ‘1인가구’와 같이 7가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관심분야는 ‘먹거리’, ‘살거리’, ‘일거리’, ‘탈거리’, ‘배울거리’, ‘보고 놀거리’, ‘건강거리’, ‘안전거리’와 같이 8가지로 나뉘어 있다. 각 항목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면 ‘한식, 중식, 카페 등 정보’처럼 해당 항목에 대한 예시를 볼 수 있다. 생애주기와 관심분야는 각각 최대 2개까지 선택이 가능하다.
.jpg) |
각 항목에 해당하는 세부적인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출처=마이 통계로) |
최근엔 발표를 준비할 일이 없어서 어떤 주제의 통계자료를 볼까 고민했다. 그 와중에 코로나19의 여파로 대중교통을 기피하고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이 많다는 뉴스를 봤고, 어떤 통계자료를 볼지 명확하게 정하진 않은 상태에서 관련된 자료를 찾기 위해 ‘청년’과 ‘장년’ 그리고 ‘탈거리’를 선택해 봤다.
.jpg)
|
‘청년’과 ‘장년’, ‘탈거리’ 선택 결과 51개의 공간통계 정보가 검색됐다.(출처=마이 통계로) |
연관된 여러 자료가 검색됐고 ‘공공자전거 수 대비 보관소 분포 현황’이 눈에 띄었다. 지금은 발표와 상관없이 호기심으로 통계자료를 검색했지만, 어떤 것을 조사해야 할지 갈피가 잡히지 않을 때는 자료를 먼저 검색해보고 그것에 맞추어 준비해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지도로 확인해보면 통계자료가 지도 위에 구현된 것을 볼 수 있다. 접속 지역을 중심으로 구현이 되며 다른 지역을 살펴보고 싶으면 지도를 움직이면 된다.
.jpg) |
통계자료가 지도 위에 구현된다.(출처=마이 통계로) |
또한 상세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해서 내가 찾은 통계자료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개업 현황과 변화 현황, 사업체 현황 등 관련 통계자료도 업종별로 있기 때문에 막연하게 트렌드 동향만을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트렌드의 지표를 알 수 있을 것이다.
.jpg) |
이 통계자료를 시설 확충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상세정보에 명시돼 있다.(출처=마이 통계로) |
통계가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우리의 삶을 숫자로 기록해놓은 것이 통계자료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우리는 기록되고 이 기록은 다시 우리가 된다. 더불어 ‘미세먼지 대기 오염도 현황’, ‘범죄 안전등급 현황’, ‘음주율’ 등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우리 동네 정보도 파악할 수 있으니 생활하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생긴다면 ‘마이 통계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마이 통계로’ : https://sgis.kostat.go.kr/view/statsMe/statsMeMain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민서현 alstjgus271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