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으로 부담없는 문화생활 즐기기!
9월 25일부터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발행 시작.
11월 27일까지 매주 목요일, 공연·전시 유형별로 2매씩 새로운 할인권 제공.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으로 일상 속 예술을 더 가깝게.
(0).jpg)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발행하기 시작한 2차 공연·전시 할인권, 1차 때 유용하게 잘 썼기에 이번 2차 때도 미리 내려받아 보기로 했다.
똑같이 전국 단위의 할인쿠폰만 제공하는 줄 알았는데 이번에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도 함께 제공한다.
단, 모든 예매처에서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측에서 발급 가능하다.
(0).jpg)
.jpg)
이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 많은 할인 혜택을 제공해 주고 있다.
공연·전시 유형별로 각 2매씩 제공되며, 1매당 공연 15,000원·전시 5,000원씩 할인이 들어간다.
다만 1차와는 다르게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는 방식이다.
발급받은 뒤엔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jpg)
.jpg)
추석 연휴 내내 고향에 머물 예정이니만큼 하루 날 잡아 공연이나 전시를 보러 가야겠다 싶어 이것저것 검색했다.
다양한 유료 전시 중 '네이버 예약' 표시가 뜨는 항목을 발견해 곧장 접속했다.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 전시 장소도 안 간 지 오래된 곳인만큼 겸사겸사 같이 방문하기로 했다.
.jpg)
결제 시에 자동으로 5,000원 할인 적용이 되어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예매를 마칠 수 있었다.
이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서울·경기·인천 외 지역이라면 전부 사용이 가능하다.
뱅크시 사진전이 시작되는 펙스코에 도착했다.
이번 뱅크시 사진전은 전시뿐만 아니라 굿즈 판매 공간, 포토존, 체험 공간으로 구분되어 운영 중이었다.
가장 먼저 입장권 발급을 위해 매표소가 있는 옆 건물로 이동했다.
제1전시관에 있는 뱅크시의 작품은 모두 석판화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추가로 길거리에 남겨둔 뱅크시 작품들을 사진으로 옮겨온 것도 신의 한 수.
직접 가서 보는 것이 가장 좋을 테지만, 작품에 대한 설명과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감상 후 제2전시관으로 향했다.
이곳은 뱅크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작품 <풍선을 든 소녀>가 있는 곳이다.
해당 작품은 2018년 소더비 런던 경매에서 낙찰이 되자마자 그림이 분쇄되기 시작해 큰 화제가 되었던 작품이다.
본래 전부 분쇄할 목적이었지만 기계적 결함으로 절반만 분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풍선을 든 소녀는 <사랑은 쓰레기통에>라는 이름으로 바뀐 뒤 298억 원에 낙찰되었다.
2018년 소더비경매 현장에서 녹화된 영상도 준비되어 있어 당시 현장 분위기를 고스란히 느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뱅크시는 익명성 뒤에서 예술이란 무엇인지, 자유란 무엇인지, 더 나은 세상이 되려면 어떤 걸 조심해야 하는지를 말하는 작가다.
사회문제를 주목하고 풍자하며 때때로 위로를 건네는 작품활동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대표작뿐만 아니라 10년 전 영국의 버려진 수영장을 개조한 디즈멀랜드의 발자취도 담아냈다.
해당 공간은 한 달간 운영되었으며 철거 후 남은 자재들은 프랑스 칼레의 난민수용소를 짓는 데 쓰였다.
여전히 뱅크시는 베일에 감춰진 예술가로, 남모르게 필요한 곳에 찾아가 한 줄의 메시지를 던지고 온다.
그의 작품인 꽃을 던지는 남자처럼, 전 세계 곳곳에 뼈 있는 메시지를 던지며 사람들에게 큰 울림을 주고 있다.
서울로 떠난 뒤로 고향에서 전시를 보러 갈 엄두를 못 냈었는데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덕에 남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그 누구보다 의미 있는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
이처럼 수도권이 아닌 비수도권에서도 예상한 것보다 훨씬 기획력이 돋보이는 알찬 전시들이 많이 개최되고 있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권으로 지방 문화생활 거점이 활성화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말하고 나누는 계기로 남았으면 좋겠다.
☞ (정책뉴스) 문체부, '공연·전시 할인권' 173만 장 재배포…25일부터 신청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임윤아 rmftmftkfka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