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 '문화가 있는 날' 정보 페이지.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하면, '문화가 있는 날'이 떠오른다.
'문화가 있는 날'은 전국 문화시설의 문턱을 낮추고, 국민 생활 속 문화 향유를 확산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014년부터 지정한 날이다.
문화가 있는 날은 영화관, 테마파크, 스포츠 경기장, 국공립 시설 등의 관람료 및 체험료 할인을 비롯하여 문화재, 미술관, 박물관, 자연휴양림 등의 시설에서는 무료입장과 함께 연장 운영을 하고, 공연, 체험, 전시 등의 특별한 문화 관련 행사도 열린다.
또한 전국 민간, 공공 도서관에서는 '두 배로 대출 서비스'도 시행한다.
문화가 있는 날, 서울 지도에서 검색된 문화 혜택 장소.
문화가 있는 날, 내가 사는 지역 내 문화 혜택은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 찾을 수 있다.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은 문화가 있는 날은 물론 대한민국 문화도시, 로컬100 등 다양한 지역문화 정보를 연계·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지역 여행 시 문화시설을 이용하거나 우리 동네 숨은 문화공간을 알아내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다.
우리 동네에서 누릴 수 있는 문화 혜택은 얼마나 될까?
서울을 기준으로 검색된 곳은 약 200개가 넘는다.
반면 지역 소도시나 군 단위 등 소위 문화환경 취약지역으로 갈수록 문화 향유 공간 및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달의 문화가 있는 날, 검색을 통해 찾아본 구석구석 문화배달 프로그램.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역문화진흥원과 함께 진행하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이 있다.
지난해 처음 도입된 이 사업은 문화가 있는 날 주간에 문화환경 취약지역, 혁신도시, 문화지구, 산업단지 등에서 공연, 전시, 체험, 교육 등 지역별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궁남지를 품은 부여 서동공원에 마련된 행사 부스 전경.
행사장에서 바라본 궁남지와 연못 중앙에 위치한 포룡정.
올해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대상 지역은 총 55곳. 그중 한 곳인 충남 부여군을 찾았다.
장소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 연못으로 유명한 궁남지였다.
궁남지는 삼국시대 신라의 선화공주와 결혼한 백제 무왕의 서동요 전설이 깃든 곳으로 매년 여름 서동연꽃축제가 열리는 부여 지역 대표 관광지다.
행사 시간이 가까워지자, 궁남지를 품은 서동공원에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어른보다는 아이들이, 노인층보다는 청년층이 주를 이뤘는데, 이 같은 풍경은 60대 이상의 고령 인구가 많은 부여 지역 내에서는 조금 보기 드문 광경이었다.
서동공원 행사장에는 가족 단위의 많은 주민과 관광객이 찾아왔다.
한 어린이가 공예 체험 부스에서 자개 보석함을 만들고 있다.
이번 행사는 궁남지를 배경으로 한 낭만과 지역 문화예술을 결합한 야외형 복합 문화 축제로 기획되었다.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각종 부스에는 가족 단위의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가득했다.
특히 행주 인형, 반딧불이 무드등, 자개 보석함 만들기와 같이 백제 고유의 특색을 잘 살린 부스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123사비공예마을 체험 부스에서 만난 부여 로컬 잡지, 규암.
젊은 커플 한 쌍이 마크라메 매듭 팔찌를 만들고 있다.
123사비공예마을(충남 부여군 규암면 수북로 소재) 청년 예술인들이 참여한 주민 체험 공간도 눈에 띄었다.
K-공예 체험지로 각광을 받는 이 마을은 민간 주도의 농촌재생사업인 '자온길 프로젝트'에 의해 청년층의 새로운 삶의 터전이 되고 있다.
현재 규암면에는 옛 담배 가게 및 인근 폐건물을 리모델링한 찻집, 책방, 공방 등의 문화공간이 들어서 있다.
참고로 부여 규암마을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빈집재생 프로젝트' 사업 대상지이기도 하다.
아름다운 궁남지를 바라보며 쉴 수 있는 간이 텐트가 마련됐다.
꽃차 블렌딩 부스에서 제공한 다과상.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은 지역의 특색 있는 먹거리와 천혜의 자연환경이 어우러진 휴식 공간도 눈길을 끌었다.
히비스커스, 사과, 코코넛을 혼합한 여름 꽃차와 함께 부여 지역 전통한과로 구성한 다과 체험은 힐링 그 자체였다.
부여 청년 예술인이 운영한 대형 물레 도자기 체험장.
마크라메 팔찌 만들기, 대형 물레 도자기 체험 등의 전통 공예와 감성 콘텐츠는 지역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경험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부여를 방문했다가 우연히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는 한 관광객은 "부여 지역 고유의 문화예술 콘텐츠를 즐길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 라며 이 같은 프로그램이 자주 개최되기를 희망했다.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가 있는 날, 앞으로도 지역 수요와 특성 기반의 지역별 맞춤형 문화 프로그램 추진으로 지역에서 누리는 문화 혜택이 더 많아지기를 바란다.
☞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culture.go.kr)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이우진 zziruni@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