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서울광장과 성수동에서 만끽한 '청년의날'과 '청년주간'

서울 도심이 청년정책으로 물든 주말, '2025 청년정책 박람회' 현장.

2025.10.02 정책기자단 한울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9월 마지막 주인 청년주간, 서울 도심은 청년정책으로 북적였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을 비롯한 여러 공공기관에서 청년주간을 맞아 여러 행사와 청년정책을 알렸다.

2025 청년의 날 <청년이 있어>.
2025 청년의 날 <청년이 있어>.

그중, 9월 20일과 21일 양일에 걸쳐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청년정책 박람회'는 2025 청년주간(9.20.~9.26.)의 백미였다.

청년 다수가 모인 서울, 청년들이 주말에 쉽게 모이는 서울 도심에서 열린 박람회는 일상 동선 속에서 정책을 접하고 관련 정보를 얻어갈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컸다.

◆ 상담·체험·교류를 중심으로 도심을 무대로 삼은 청년정책 박람회(9.20.~21.)

서울시청 서울광장에서 열린 청년정책 박람회(9.20.~21.) 현장.
서울시청 서울광장에서 열린 청년정책 박람회(9.20.~21.) 현장.
청년정책 박람회(9.20.~21.)날은 하늘도 참 맑았다.
청년정책 박람회(9.20.~21.)날은 하늘도 참 맑았다.
2025 청년정책 박람회(9.20.~21.)
2025 청년정책 박람회(9.20.~21.)

박람회 현장은 청년들이 광장 중심에 서서 목소리를 내는 교류의 장이었고, 동시에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이 청년정책을 홍보하고 알리는 정보의 장이기도 했다.

이를 통해 도심에서 정책·진로·재무·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하도록 했다.

주거 및 전세제도에 대한 현장 상담, 다양한 정책 체험, 이벤트를 통한 경품 추첨 등 유익하면서도 재미있는 행사가 촘촘하게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은 주거·소득·참여·마음건강 등 생활 밀착 의제를 한데 엮고, 무대 프로그램·현장 토크로 공감대를 넓혔다는 호평을 받았다.

◆ 드림 쉐어 데이부터 기념식 생중계, 청년센터 매니저들의 솔직한 토크까지

박람회 한편에 마련된 무대.
박람회 한편에 마련된 무대.
청년센터 매니저들의 토크쇼.
청년센터 매니저들의 토크쇼.

1일 차인 9월 20일에는 박람회 한편에 마련된 무대에서 드림 쉐어 데이로 시작해 K-뷰티 클래스, 청춘 마이크 청년 예술 콘서트, 청년 마을 라이브 토크가 이어졌고, 저녁에는 청년의 날 기념식이 생중계되었다.

2일 차인 9월 21일에는 청년 작가들이 참여한 요즘 청년의 문장(12:00~13:10), 청춘 마이크 공연, 전국 청년센터에 근무하는 매니저들의 토크쇼와 공식 홍보대사의 축하공연이 이어졌다.

◆ 서울 성수동 팝업 스토어에서도 참여할 수 있었던 청년정책

청년정책 안내뿐만 아니라 청년창업가들도 함께하는 체험존.
청년정책 안내뿐만 아니라 청년창업가들도 함께하는 체험존.

올해 박람회는 단순 정책에 대한 설명보다도 상담, 체험, 교류가 도심 한곳에서 이루어졌다.

도심 접근성을 높여 참여 장벽을 낮췄고, 청년 마을·청년센터·청년 예술인·작가 등 당사자들이 직접 목소리를 내며 지역 사례를 공유했다.

공연·클래스와 정책 안내를 결합한 방식은 정보 전달력을 높이는 동시에 정책 체감도를 끌어올렸다.

서울 성수동에서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서울 성수동에서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내부.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내부.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내부.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내부.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내부.
청년주간 팝업스토어 내부.

서울시청 광장 외에도 동네 곳곳에서도 청년정책 박람회를 살펴볼 수 있었다.

서울 성수동에서는 '2025년 청년의 날 기념식'은 9월 20일에 열렸다.

전날부터 20일까진 '서울 청년주간 팝업스토어'가 진행되었다.

◆ 청년주간은 끝났지만, 청년정책은 여전히 곁에 있다.

난 올해 청년의 날을 서울광장과 성수동을 잇는 동선 안에서 만끽했다.

도심 접근성과 참여형 구성 덕분에 주말 일상 동선 속에서 주거·진로·재무·마음건강 같은 청년정책을 두루 접할 수 있었고, 곧바로 신청·상담으로 이어져 만족스러웠다.

앞으로도 대한민국 정부는 지자체, 공공기관과 함께 정책 정보를 더 알기 쉽게 묶고, 현장 상담과 체험 기회를 넓혀 일상에서 바로 쓰이게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다.

청년의날이 아니더라도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과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운영하는 포털 온통청년을 통해 필요한 정책과 서비스를 찾고, 청년센터와 지자체별 행사도 놓치지 말았으면 한다.

"청년이 있어" 라는 표제처럼 청년의 날 행사 기간뿐만 아니라 청년 정책은 항상 청년 주변에 있어 그들의 삶을 도울 것이다.

☞ (카드뉴스) 2025 청년의 날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한울 woolhan0309@gmail.com

하단 배너 영역

/
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청년정책 정책포커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