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는 물론, '우리동네 예술터' 등의 서비스를 통해 지역에서 관람할 수 있는 예술 공연 및 전시 정보까지 폭넓게 제공하고 있어, 예술에 관심이 많은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도 내 눈길을 끌었던 메뉴는 '맞춤형 예술활동' 항목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술자료 나눔터'와 '체험/실기 온라인 콘텐츠'이다.
'예술자료 나눔터'에서는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음악, 미술, 연극, 융합 등 교과 영역별에 따른 교육과정 자료부터 수업 사례, 수업 자료, 연구 보고서까지 1000여 건이 넘는 콘텐츠가 게시되어 있다.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읽고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수업을 준비하는 교수자 뿐만 아니라 예술과 관련된 진로를 가진 학생들도 공부하거나 진로를 고민할 때 참고해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체험/실기 온라인 콘텐츠의 경우 음악, 미술, 기타 예술 활동을 앱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리코더 온 교실' 앱을 직접 깔아본 뒤, 리코더를 부는 방법과 다양한 악보를 받아보았다. 혼자서도 익히기 쉽게 매우 친절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근차근 따라 하면 학습자 혼자서도 쉽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어렵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좋았다.
예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과목을 공부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언젠가 복합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칠 기회가 온다면 내 전공과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영역의 지식도 풍부하게 갖추고 수업을 진행하고 싶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었다.
그렇지만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어떻게 찾아서 배우고 익힐 수 있을지 항상 어렵게 느껴졌는데, '학교예술교육포털'을 활용하면 내가 알고 싶은 예술교육과 관련된 지식을 충분히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얼마 전 시나리오 대본을 보면서 영상 용어와 카메라를 다루는 방법에 관해 공부할 일이 있었다.
영상 용어나 카메라 기술에 대해서는 접할 일이 없었기에 어렵게 느끼면서 공부했었는데, '학교예술교육포털'에서 사진 이미지 활용 교육과 관련된 영상 매체를 보고 쉽게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다.
영화, 영상을 찍을 때의 카메라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기초적인 정보를 쉽게 알려준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제시되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관련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좋았다.
예술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나 학부모도 해당 누리집을 알고 있으면 활용하기에 좋지 않을까 싶다.
사진을 찍을 때, 알고 있어야 할 카메라 관련 용어나 사진 관련 용어도 설명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e-아트폴리오' 서비스가 있다.
e-아트폴리오는 학생이 자신만의 작품을 포털에서 제작하고, 온라인 갤러리에 전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림 조각 만들기, 콜라주, 아트폴리오 제작을 지원하고 있고 완성한 작품을 온라인 갤러리에 전시하면 선생님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학생 맞춤형 예술교육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술 온 학교'를 통해 직접 보고 따라할 수 있는 미술 활동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직접 따라 해볼 수 있는 미술 활동 영상 콘텐츠가 50편이 업로드되어 있다.
해당 영상을 살펴보니 아트폴리오 앱 활용 방법, 연필 표현 기법, 수채화 기법, 질감 표현 기법, 세밀화 등 단계별 맞춤 영상이 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