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학교예술교육포털에서 다양한 예술교육 자료 찾아볼까요?

예술교육의 모든 것을 담은 '학교예술교육포털'

2025.11.07 정책기자단 한지민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교사가 되겠다는 꿈을 지닌 나는 요즘 교육학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함께 살펴보며 공부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공부하다 보니 앞으로 어떤 수업을 하고 싶은지 상상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이 가는 교육 분야도 생겼다.

다양한 교육 중에서도 나는 예술교육이 흥미롭게 느껴졌다.

실제 학교에서 어떤 예술교육이 시행되고 있는지 궁금해서 이것저것 살펴보던 중에,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학교예술교육 전용 온라인 플랫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학교예술교육포털'(artsedu.re.kr)은 음악, 미술, 연극 등 다양한 예술교육 자료와 교육과정, 그리고 전국 학교의 우수 예술교육 사례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학교예술교육포털 메인 화면.
학교예술교육포털 메인 화면.

문화예술 수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는 물론, '우리동네 예술터' 등의 서비스를 통해 지역에서 관람할 수 있는 예술 공연 및 전시 정보까지 폭넓게 제공하고 있어, 예술에 관심이 많은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도 내 눈길을 끌었던 메뉴는 '맞춤형 예술활동' 항목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술자료 나눔터'와 '체험/실기 온라인 콘텐츠'이다.

'예술자료 나눔터'에서는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음악, 미술, 연극, 융합 등 교과 영역별에 따른 교육과정 자료부터 수업 사례, 수업 자료, 연구 보고서까지 1000여 건이 넘는 콘텐츠가 게시되어 있다.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읽고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읽고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수업을 준비하는 교수자 뿐만 아니라 예술과 관련된 진로를 가진 학생들도 공부하거나 진로를 고민할 때 참고해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체험/실기 온라인 콘텐츠의 경우 음악, 미술, 기타 예술 활동을 앱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리코더 온 교실' 앱을 직접 깔아본 뒤, 리코더를 부는 방법과 다양한 악보를 받아보았다. 혼자서도 익히기 쉽게 매우 친절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리코더 온 교실' 앱을 직접 깔아본 뒤, 리코더를 부는 방법과 다양한 악보를 받아보았다. 혼자서도 익히기 쉽게 매우 친절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근차근 따라 하면 학습자 혼자서도 쉽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어렵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좋았다.

예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과목을 공부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언젠가 복합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칠 기회가 온다면 내 전공과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영역의 지식도 풍부하게 갖추고 수업을 진행하고 싶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었다.

그렇지만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어떻게 찾아서 배우고 익힐 수 있을지 항상 어렵게 느껴졌는데, '학교예술교육포털'을 활용하면 내가 알고 싶은 예술교육과 관련된 지식을 충분히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얼마 전 시나리오 대본을 보면서 영상 용어와 카메라를 다루는 방법에 관해 공부할 일이 있었다.

영상 용어나 카메라 기술에 대해서는 접할 일이 없었기에 어렵게 느끼면서 공부했었는데, '학교예술교육포털'에서 사진 이미지 활용 교육과 관련된 영상 매체를 보고 쉽게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다.

영화, 영상을 찍을 때의 카메라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기초적인 정보를 쉽게 알려준다.
영화, 영상을 찍을 때의 카메라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기초적인 정보를 쉽게 알려준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제시되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관련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좋았다.

예술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나 학부모도 해당 누리집을 알고 있으면 활용하기에 좋지 않을까 싶다. 

사진을 찍을 때, 알고 있어야 할 카메라 관련 용어나 사진 관련 용어도 설명해주고 있다.
사진을 찍을 때, 알고 있어야 할 카메라 관련 용어나 사진 관련 용어도 설명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e-아트폴리오' 서비스가 있다.

e-아트폴리오는 학생이 자신만의 작품을 포털에서 제작하고, 온라인 갤러리에 전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림 조각 만들기, 콜라주, 아트폴리오 제작을 지원하고 있고 완성한 작품을 온라인 갤러리에 전시하면 선생님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학생 맞춤형 예술교육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술 온 학교'를 통해 직접 보고 따라할 수 있는 미술 활동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예술 온 학교'를 통해 직접 보고 따라할 수 있는 미술 활동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직접 따라 해볼 수 있는 미술 활동 영상 콘텐츠가 50편이 업로드되어 있다.

해당 영상을 살펴보니 아트폴리오 앱 활용 방법, 연필 표현 기법, 수채화 기법, 질감 표현 기법, 세밀화 등 단계별 맞춤 영상이 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은 아트폴리오 서비스뿐만 아니라 유튜브 '예술온학교'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동네 예술터' 메뉴에서는 지역별 예술 체험기관, 공연장, 전시장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동네 예술터' 메뉴에서는 지역별로 어떤 예술 체험 기관이 있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우리동네 예술터' 메뉴에서는 지역별로 어떤 예술 체험 기관이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지역에서 어떤 예술 공간을 즐길 수 있는지, 주소와 전화번호, 홈페이지 정보까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방과후 예술 체험을 한다거나 휴일을 활용해 나들이를 계획하고 있다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학교예술교육 축제' 메뉴도 눈에 띄었다.

학교예술교육 축제는 매년 전국의 초··고 및 특수학교가 참가하여 합창, 뮤지컬, 오케스트라, 협동 미술 등 여러 문화예술 공연과 전시를 펼치고 관람할 수 있는 자리라고 한다.

2025 전국 학교예술교육축제 포스터.
2025 전국 학교예술교육축제 포스터.

2025 전국 학교예술교육 축제는 11월 18일부터 19일까지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한다.

참가 신청은 마감된 상태이지만 현장 관람은 누구나 가능하다고 하니, 다른 학교의 예술 활동을 직접 보고 싶은 학생이라면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공연 및 전시 정보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열리고 있는 공연과 전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진전, 미술 비엔날레, 발레, 전통 춤, 실내악,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의 전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공연과 전시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공연, 전시 정보'도 따로 제공해 준다.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공연과 전시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공연, 전시 정보'도 따로 제공해 준다.

전시를 보러 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흩어진 정보를 한 번에 찾기가 어려워 늘 가던 전시관만 다니곤 했는데, 학교예술교육포털을 살펴보고 있다가 다양한 전시관과 공연을 보러 다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교예술교육포털을 살펴보면서, 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과 학생에게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스로 학습을 더 해보고 싶거나, 예술의 지평을 조금 더 넓히고 싶다면 학교예술교육포털도 한번 이용해 보자!

☞ (다른 기자의 글) 일상에 스며드는 문화 '문화포털'에서 만들어요

정책기자단 한지민 사진
정책기자단|한지민hanrosa2@naver.com
섬세한 시선과 꼼꼼한 서술로 세상의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