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우가 쏟아진 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폭우가 쏟아진 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폭우가 쏟아진 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폭우가 쏟아진 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주말부터 시작된 장마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폭우가 쏟아지면서 각종 안전사고에 주의가 필요한데요. 폭우가 지나간 뒤에는 먼저 주변의 피해 요소를 확인하고, 피해 요소 발견 시 인근 주민센터 등에 꼭 신고해 주셔야 합니다. 대처 요령을 카드뉴스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폭우로 인한 피해여부 확인하기
1. 주택, 상·하수도, 도로 등 파손된 시설물 발견 시 시군구청에 신고하기
2. 파손된 사유시설 보수·복구 시 사전에 사진 찍어두기
3. 침수된 도로, 다리, 보도 등은 파손 가능성이 있으므로 건너지 않기
4. 하천 등 제방은 무너질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기
5. 지반이 약해진 비탈면에 접근하지 말기
2차 피해 방지하기
1. 수돗물이나 저장 식수는 오염 여부 확인 후 사용하기
2.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기
3. 침수주택은 가스 전기 차단기가 내려있는지 확인하고, 전문가(한국가스·전기안전공사) 안전점검 후 사용하기
4. 호우 피해로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충분히 환기하고, 환기 전까지 화기(성냥불, 라이터) 사용 금지
5. 논·밭이 침수되었을 경우 작물에 묻은 오염물을 깨끗한 물로 제거하고 병해충 방제하기
주말부터 시작된 장마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폭우가 쏟아지면서 각종 안전사고에 주의가 필요한데요. 폭우가 지나간 뒤에는 먼저 주변의 피해 요소를 확인하고, 피해 요소 발견 시 인근 주민센터 등에 꼭 신고해 주셔야 합니다. 대처 요령을 카드뉴스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폭우로 인한 피해여부 확인하기
1. 주택, 상·하수도, 도로 등 파손된 시설물 발견 시 시군구청에 신고하기
2. 파손된 사유시설 보수·복구 시 사전에 사진 찍어두기
3. 침수된 도로, 다리, 보도 등은 파손 가능성이 있으므로 건너지 않기
4. 하천 등 제방은 무너질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기
5. 지반이 약해진 비탈면에 접근하지 말기
2차 피해 방지하기
1. 수돗물이나 저장 식수는 오염 여부 확인 후 사용하기
2.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기
3. 침수주택은 가스 전기 차단기가 내려있는지 확인하고, 전문가(한국가스·전기안전공사) 안전점검 후 사용하기
4. 호우 피해로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충분히 환기하고, 환기 전까지 화기(성냥불, 라이터) 사용 금지
5. 논·밭이 침수되었을 경우 작물에 묻은 오염물을 깨끗한 물로 제거하고 병해충 방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