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 채용

공무원 채용

공무원 채용

공무원 채용

공무원 채용

공무원 채용

공무원 공개경쟁채용 시험은 2005년부터 응시원서 내 학력란 폐지와 구조화 면접을 시행해왔습니다. 다만, 각 부처 주관의 경력 채용에는 학력, 가족관계 등 임의로 인적 사항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경력 채용은 본인확인용 사진을 부착한 공채의 응시원서를 함께 사용했지만, 이번 임용시험 지침안에 따라 서류전형과 면접으로 선발하는 경력 채용에서 외모에 따른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사진 없는 응시원서와 이력서를 사용합니다. (단, 공채시험 응시원서는 필기시험 응시자 본인확인 등을 위해 사진부착)
또한 부처마다 다른 이력서 서식과 인적 사항을 요구하는 점을 감안해, 이번 개정안에는 학력과 같이 직무수행에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제출받을 수 없도록 전 부처 공통의 표준 서식을 만들었습니다.
불필요한 스펙 쌓기를 줄이고, 직무 능력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경력 채용 주관부처는 응시자가 수행해야 할 직무내용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능력을 밝힌 직무기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공지해야 합니다.
인사혁신처는 균등한 기회 제공과 공정한 채용이 정착되도록 각 부처의 면접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공채 시행과 구조화 면접에서 쌓아온 노하우와 면접 운영 역량을 각 부처와 적극 공유할 것입니다.
인사혁신처는 균등한 기회 제공과 공정한 채용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각 부처에 면접지원을 강화해나가겠습니다.
공무원 경력채용, 이제는 블라인드로 공평하게!
공무원 공개경쟁채용 시험은 2005년부터 응시원서 내 학력란 폐지와 구조화 면접을 시행해왔습니다. 다만, 각 부처 주관의 경력 채용에는 학력, 가족관계 등 임의로 인적 사항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경력 채용은 본인확인용 사진을 부착한 공채의 응시원서를 함께 사용했지만, 이번 임용시험 지침안에 따라 서류전형과 면접으로 선발하는 경력 채용에서 외모에 따른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사진 없는 응시원서와 이력서를 사용합니다. (단, 공채시험 응시원서는 필기시험 응시자 본인확인 등을 위해 사진부착)
또한 부처마다 다른 이력서 서식과 인적 사항을 요구하는 점을 감안해, 이번 개정안에는 학력과 같이 직무수행에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제출받을 수 없도록 전 부처 공통의 표준 서식을 만들었습니다.
불필요한 스펙 쌓기를 줄이고, 직무 능력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경력 채용 주관부처는 응시자가 수행해야 할 직무내용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능력을 밝힌 직무기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공지해야 합니다.
인사혁신처는 균등한 기회 제공과 공정한 채용이 정착되도록 각 부처의 면접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공채 시행과 구조화 면접에서 쌓아온 노하우와 면접 운영 역량을 각 부처와 적극 공유할 것입니다.
인사혁신처는 균등한 기회 제공과 공정한 채용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각 부처에 면접지원을 강화해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