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한국철도 승차권 변천사

지난 118년, 철도와 함께 발전해온 승차권. 그 변천사를 생생한 사진으로 구경해보겠습니다!
1. 철도 개통~해방 전
1899년 노량진~재물포간 개통부터 해방 전까지 한자나 일본어로 표기된 에드몬슨식 승차권(종이로 만든 승차권)이 사용되었습니다. 현재는 높은 희소성 때문에 수집가들 사이에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합니다!
2. 해방 이후 ~ 1970년대
일본어나 한자만 있던 에드몬슨식 승차권에 한글이 등장! 1974년에는 서울~청량리 간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전철 승차권도 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3. 1980년대~KTX 개통 전
승차권 전산 발매 시작되었습니다. 1981년 경부선 등 주요 노선을 시작으로 전산 발매가 점차 확대되었으나, 지방 등에선 여전히 에드몬슨식 승차권이 사용되었습니다.
4. 2004년 KTX 개통
KTX가 개통되면서 기존의 전산 승차권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자성 띠 MS 방식)로 변화했고, 100년 이상 사용되던 에드몬슨식 승차권이 역사의 뒤안길로 굿바이 하였습니다.
5. 2005~2010년
05년 6월, 집에서 PC로 인쇄하는 홈 티켓팅 승차권이 등장했습니다. 10월에는 승차권 없이 핸드폰만으로 결제 및 탑승이 가능한 e-티켓 서비스가 등 시작되었고, 06년 9월 단문메시지서비스(SMS)티켓이 등장했습니다.
6. 2010년 말~현재
2010년 말, 스마트폰의 유행으로 앱 티켓 예매가 시작되었습니다. 클로리앱→코레일 톡→코레일톡+ 로 발전하며 점차 실물 승차권보다 간편하게 예매하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또한 110년 만에 기차표 검사가 사라지고, 승무원이 단말기를 통해 열차 내 실시간 검표를 하게 됐습니다.
지난 118년, 철도와 함께 발전해온 승차권. 그 변천사를 생생한 사진으로 구경해보겠습니다!
1. 철도 개통~해방 전
1899년 노량진~재물포간 개통부터 해방 전까지 한자나 일본어로 표기된 에드몬슨식 승차권(종이로 만든 승차권)이 사용되었습니다. 현재는 높은 희소성 때문에 수집가들 사이에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합니다!
2. 해방 이후 ~ 1970년대
일본어나 한자만 있던 에드몬슨식 승차권에 한글이 등장! 1974년에는 서울~청량리 간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전철 승차권도 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3. 1980년대~KTX 개통 전
승차권 전산 발매 시작되었습니다. 1981년 경부선 등 주요 노선을 시작으로 전산 발매가 점차 확대되었으나, 지방 등에선 여전히 에드몬슨식 승차권이 사용되었습니다.
4. 2004년 KTX 개통
KTX가 개통되면서 기존의 전산 승차권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자성 띠 MS 방식)로 변화했고, 100년 이상 사용되던 에드몬슨식 승차권이 역사의 뒤안길로 굿바이 하였습니다.
5. 2005~2010년
05년 6월, 집에서 PC로 인쇄하는 홈 티켓팅 승차권이 등장했습니다. 10월에는 승차권 없이 핸드폰만으로 결제 및 탑승이 가능한 e-티켓 서비스가 등 시작되었고, 06년 9월 단문메시지서비스(SMS)티켓이 등장했습니다.
6. 2010년 말~현재
2010년 말, 스마트폰의 유행으로 앱 티켓 예매가 시작되었습니다. 클로리앱→코레일 톡→코레일톡+ 로 발전하며 점차 실물 승차권보다 간편하게 예매하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또한 110년 만에 기차표 검사가 사라지고, 승무원이 단말기를 통해 열차 내 실시간 검표를 하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