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방사선비상 핵심요약 정리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2017.11.06 .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방사선비상 핵심요약 정리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하단내용 참조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만을 골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방사선비상에 대한 개념과 대응체계, 비상의 종류 및 행동요령,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등을 알기 쉽게 카드뉴스로 확인해보세요!

방사선비상과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이란?

방사선비상은 “원자력시설 사고발생 시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누출될 우려가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방사선비상은 그 심각성과 피해 예상정도에 따라 백색·청색·적색비상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비상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중앙방사능방재대책본부’가 설치되며, 현장 대응활동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방사선비상 시 주민보호대책을 사전에 집중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설정한 구역을 ‘방사선비상계획구역’라고 합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자력발전소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예방적보호조치구역(3~5km),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20~30km)으로 구분됩니다.

만약의 원자력 사고에 철저히 대비합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방사선비상 시를 대비해 정부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 군·경·소방 및 원자력안전전문기관·방사선의료전문기관 등 국가 차원에서 대비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방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국가방사능방재연합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방사선으로부터 국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