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방위비 협상

한미 방위비 협상

한미 방위비 협상

한미 방위비 협상

한미 방위비 협상

미국의 대표적인 지한파 인사들이 한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의 '공정한 연장'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난 11월 19일 미국 외교안보전문지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실린 월터 샤프 前 주한미군사령관과 토머스 번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의 기고문 주요 내용을 카드뉴스로 정리했습니다.
◆ “한국이 무임승차국이 아닌 증거”
① 2018년 한국의 국방 예산은 국내총생산의 2.6%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2%, 독일 1.2%, 일본 0.9%보다 높음
② 한국은 세계 3대 美 군사장비 구매국
- ‘08~’17년 미국으로부터 67억 달러 규모의 군사 장비 구매
③ 주한미군기지 평택 이전 건설비용(110억 달러)의 약 90%를 한국이 부담
- 美국방부, “태평양 지역 미국의 최대 규모 전력투사 플랫폼이 조성됐다“고 평가
④ 한국은 베트남,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파병 및 호르무즈 해협 구축함 파견을 통해 ‘믿을 수 있는 동맹’임을 입증
◆ “바람직한 한미 방위비 협상“
- 지나치게 많은 것을 요구한다면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동맹과 멀어지게 될 위험
- 미군이 자국 내 용병부대에 불과하다는 한국인들의 비난을 키우지 않도록 한미 방위비 협정이 공정하게 연장되는 것이 필요
미국의 대표적인 지한파 인사들이 한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의 '공정한 연장'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난 11월 19일 미국 외교안보전문지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실린 월터 샤프 前 주한미군사령관과 토머스 번 코리아소사이어티 회장의 기고문 주요 내용을 카드뉴스로 정리했습니다.
◆ “한국이 무임승차국이 아닌 증거”
① 2018년 한국의 국방 예산은 국내총생산의 2.6%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2%, 독일 1.2%, 일본 0.9%보다 높음
② 한국은 세계 3대 美 군사장비 구매국
- ‘08~’17년 미국으로부터 67억 달러 규모의 군사 장비 구매
③ 주한미군기지 평택 이전 건설비용(110억 달러)의 약 90%를 한국이 부담
- 美국방부, “태평양 지역 미국의 최대 규모 전력투사 플랫폼이 조성됐다“고 평가
④ 한국은 베트남,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파병 및 호르무즈 해협 구축함 파견을 통해 ‘믿을 수 있는 동맹’임을 입증
◆ “바람직한 한미 방위비 협상“
- 지나치게 많은 것을 요구한다면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동맹과 멀어지게 될 위험
- 미군이 자국 내 용병부대에 불과하다는 한국인들의 비난을 키우지 않도록 한미 방위비 협정이 공정하게 연장되는 것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