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의료진의 헌신과 열정에 모든 국민이 깊이 감사하고 있습니다.
의료진도 극심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어려움을 인정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이겨낼 수 있습니다.
1. 과도한 스트레스나 정신건강 문제 징후를 경험하는 경우 도움을 요청하세요.
의료진은 예기치 못한 일들을 겪으며, 감염에 대한 불안, 사회적 고립, 책임감, 과로 등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징후가 있다면 도움을 요청하고 근무 기관에 보고해야 합니다.
2. 감염병 질환에 대한 교육과 체계적인 지지를 받을 경우 심리적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치료 현장의 동기부여를 위해서 의료기관은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충분한 지원을 해주어야 합니다. 의료진의 안정을 위해 휴식공간을 마련하고, 음식, 일용품, 개인보호 장비를 적절히 제공해야 합니다.
3. 개인 보호 장비 스트레스에 대처해야 합니다.
개인 보호 장비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 의료진을 포함해 모든 직원에게 개인 보호 장비 사용법을 훈련하고, 관련된 어려움을 이야기하도록 격려해주세요.
4. 팀워크, 사기 진작 활동 등이 업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커서 감당하기 어렵다면, 주위 동료들에게 털어놓으세요. 2인 1조 방식으로 서로를 모니터링해 도울 수 있는 절차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5. 대리 외상과 소진에 대하여 대비해야 합니다.
환자를 대면하면서 트라우마 상황을 지속적으로 목격하게 되는 경우 대리 외상 후유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소진 방지를 위해 업무에 대한 사전교육을 충실히 받고 초심자는 경험자와 짝지어 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음 건강지침의 원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홈페이지 (http://www.knpa.or.kr/)에서 확인해주세요.
[코로나19 극복] 감염병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의료진의 헌신과 열정에 모든 국민이 깊이 감사하고 있습니다.
의료진도 극심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어려움을 인정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이겨낼 수 있습니다.
1. 과도한 스트레스나 정신건강 문제 징후를 경험하는 경우 도움을 요청하세요.
의료진은 예기치 못한 일들을 겪으며, 감염에 대한 불안, 사회적 고립, 책임감, 과로 등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징후가 있다면 도움을 요청하고 근무 기관에 보고해야 합니다.
2. 감염병 질환에 대한 교육과 체계적인 지지를 받을 경우 심리적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치료 현장의 동기부여를 위해서 의료기관은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충분한 지원을 해주어야 합니다. 의료진의 안정을 위해 휴식공간을 마련하고, 음식, 일용품, 개인보호 장비를 적절히 제공해야 합니다.
3. 개인 보호 장비 스트레스에 대처해야 합니다.
개인 보호 장비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 의료진을 포함해 모든 직원에게 개인 보호 장비 사용법을 훈련하고, 관련된 어려움을 이야기하도록 격려해주세요.
4. 팀워크, 사기 진작 활동 등이 업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커서 감당하기 어렵다면, 주위 동료들에게 털어놓으세요. 2인 1조 방식으로 서로를 모니터링해 도울 수 있는 절차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5. 대리 외상과 소진에 대하여 대비해야 합니다.
환자를 대면하면서 트라우마 상황을 지속적으로 목격하게 되는 경우 대리 외상 후유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소진 방지를 위해 업무에 대한 사전교육을 충실히 받고 초심자는 경험자와 짝지어 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음 건강지침의 원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홈페이지 (http://www.knpa.or.kr/)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