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 통해 농산물 유통구조 효율화”

2024.04.02 농림축산식품부
인쇄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유통구조 효율화를 위해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4월 1일 KBS 9시 뉴스 ‘과일 가격상승’ 관련 보도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최근 과일 가격상승에도 농가 수취가격은 낮은 이유가 대형 도매법인들이 독점 운영하는 경매제 등 왜곡된 유통구조에 있으며, 강서시장에서 운영 중인 ‘시장도매인’ 제도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농식품부 설명]

① 농산물 유통구조는 각국의 생산·소비 구조, 유통 여건에 따라 상이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경매제 중심의 공영도매시장을 경유하는 방식이 주요 유통 경로로 정착하였습니다.

농산물 유통구조는 각국의 유통 여건에 따라 다양합니다.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주산지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물량을 규모화하여 주로 산지 경매로 농산물을 유통하며, 일본 역시 산지 협동조합에서 물량을 규모화하여 소비지 유통주체와 정가·수의 방식의 거래(경매 비율 8.5%)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소규모로 영세하고 소비지에 대형유통업체 뿐만 아니라 전통시장·중소형마트 등 다양한 유통주체들이 존재하는 유통 여건으로 인해 1) 중소농의 교섭력 제고, 2) 투명하고 효과적인 가격 발견, 3) 효율적인 농산물 분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매제 중심의 거래제도가 정착되었습니다.

* 가락시장 출하자(‘19년 기준 134천명)의 약 71%가 연간 1천만원 미만 출하
* 주요국 유통비용 : 한국 50.8%, 일본 54.2%, 미국 74.9%(‘17년 사과·감자·감귤·토마토 기준)

시장도매인제는 유통단계 단축 등 일부 장점도 있으나, 동일 시장에서 경매제와 시장도매인제를 병행 운영하는 것은 강서시장 사례*를 볼 때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가격변동성 측면에서 강서 시장도매인이 가락시장 경매가보다 높음(’19년 거래가격 분석)

② 정부는 유통단계 축소, 비용 절감이 가능한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를 통해 농산물 유통구조를 효율화해 나가겠습니다.

공영도매시장은 경매제 외 다른 거래 방식을 도입하더라도 특정 개설 구역 내에서 지정 또는 허가받은 유통 주체 간 거래만 가능한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에 정부는 기존 도매시장의 거래제한 및 경쟁 제한 요소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물류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작년부터 전국 단위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을 출범·운영 중에 있습니다.

정부는 유통단계 축소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거래 품목 확대, 판매자 가입기준 완화,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정책방안을 마련하여 농산물 유통구조를 더욱 효율화해 나가겠습니다.

*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시 농가 수취가격 4.3% 상승, 출하·도매단계 비용 9.9% 절감 효과 확인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실 유통정책과(044-201-2215)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