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기재부 “근원물가 상승률, 주요국 대비 안정적 흐름”

2024.04.22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한국은 10대 주요강국 중 물가관리성적 일본에 이어 2등”이라면서 “이코노미스트紙는 주요 고소득국 10개국 중 우리나라가 2번째로 빨리 인플레이션을 극복할 것으로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근 먹거리 물가상승은 일시적인 농산물 가격강세에 기인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주요국 대비 안정적인 흐름(24.3월, 2.4%)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4월 21일 연합뉴스 <‘기록적’ 한국 식품 인플레…OECD 평균 추월, 35개국 중 3위>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o 한국의 2월 식료품·음료 물가상승률이 7%에 육박하는 반면 OECD 평균은 6.3%에서 5.3%로 하락해 한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3위라고 보도

[기재부 입장]

□ 최근 우리 먹거리 물가가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은 이상기온 및 일조량 부진 등에 따라 과일 등 작황 부진으로 농산물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24.2월 기준 농산물 전년동월비 20.9% 상승)

□ 그러나, 변동성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근원 물가는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24.2월 2.5% → 3월 2.4%),

ㅇ 최근 국제유가 상승 등 불확실한 요인이 있으나, 연말까지 물가는 2% 초반대의 안정적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ㅇ 최근 이코노미스트紙의 분석*에서도 주요 10개국 중 우리나라가 근원물가상승률과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낮아서 2번째로 빨리 인플레이션을 벗어날 것으로 평가하였습니다.

* “Which country will be last to escape inflation?” (Economist, 3.27.)

□ 이코노미스트紙는 근원물가상승률, 기대물가상승률 등 5개 지표*를 기준으로 한국, 일본, 호주, 영국, 캐나다, 스페인, 미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고소득국 10개국(G7 + 한국, 호주, 스페인)을 분석하였습니다.

* 근원물가 상승률, 단위노동비용, 인플레이션 확산(dispersion) 수준, 기대 물가상승률, 구글 검색활동

ㅇ 한국의 경우, 근원물가상승률은 2.5%로 미국 3.9%, 영국 4.8% 등에 비해 낮고, 기대인플레이션율 또한 2.2%로 미국 5.3%, 프랑스 3.5% 등에 비해 훨씬 낮아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르게 인플레이션을 벗어날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코노미스트紙가 평가한 10개국의 근원물가 및 기대인플레이션율 (출처 :  “Which country will be last to escape inflation?”, Economist, 3.27.)
이코노미스트紙가 평가한 10개국의 근원물가 및 기대인플레이션율 (출처 : “Which country will be last to escape inflation?”, Economist, 3.27.)

□ 이러한 이코노미스트紙의 평가는 2024년 2월 및 최신 통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한국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발생한 고물가를 상대적으로 잘 관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ㅇ 정부는 관계부처 및 기관간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조속한 시일내에 물가안정 흐름을 공고히 하고 국민 부담을 덜어 드릴 수 있도록 모든 정책적 노력을 다해나가겠습니다. 

[붙임] 이코노미스트紙 기사 원문 및 비공식 번역본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044-215-277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