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노동부 "일자리 안정 지원 차질없이 추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산업구조 전환에 따른 일자리 안정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13일 매일노동뉴스 <'산업전환 고용안정' 윤 정부 허송세월했는데, 현 정부도 '졸속 연구'>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노동부 설명]

<산업전환에 따른 기본계획 수립 관련>

□ 산업전환고용안정법 시행('24.4.)에 따라 정부는 '24년부터 산업전환에 따른 고용안정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 중임

ㅇ 법 시행에 맞춰 '24년 한국노동연구원을 통해 "산업전환에 따른 고용안정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음('24.5~12월)

* 고용안정지원 필요성이 큰 산업·업종·지역 등 우선지원, 노동전환 지원 및 사회적대화 활성화 등

□ 1차 연구용역 결과를 기초로 산업전환 전문가에 대한 폭넓은 의견 수렴 및 심층조사를 위한 연구과제*를 수행함

* 한국고용정보원 산업·일자리전환 분석센터 과제('25.6월~9월, 최종보고서 검수 진행중)

ㅇ 이와 별도로 현재 디지털·AI 전환에 따른 고용영향 사전평가 연구를 진행 중임

ㅇ 또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폭넓은 의견수렴을 위해 전문가 포럼을 구성, 주요 과제 발굴 및 공론화 과정을 진행할 계획임

* 산업전환 고용안정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중간발표·토론회 등을 통해 관련 진척사항을 국회와 논의할 것('24년 국정감사 지적사항)

ㅇ 연구결과 및 포럼 논의결과 등을 통해 노·사·전문가 및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6년까지 기본계획 수립 예정임

□ 따라서, 졸속 연구 등 기본계획 수립을 차일피일 미뤘다는 기사내용은 사실과 다름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 구성 관련>

□ 산업전환고용안정법 시행('24.4.~) 이후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 설치 및 구성·운영의 근거 마련을 위한 후속 법령 제·개정 추진함

□ 고용정책심의회의 전문위원회 설치 근거 및 위원 자격 등을 규정한 고용정책기본법의 법령 체계 등을 감안하여 시행령을 개정한 이후, 

ㅇ 환노위 부대의견의 취지에 따라 노·사 동수로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를 구성*·운영 중임

* ▲(위원장) 고용정책실장, ▲(위원) 노·사위원(각 2명), 전문가(6명), 관계부처(5명) 등 총 16명

환노위 부대의견(전문)
환노위 부대의견(전문)

ㅇ 당시 전문위원회는 석탄화력발전소 관련 논의의 시급성을 감안하여 석탄화력발전소 관련 이해관계자를 위원으로 구성하였으며, 

* 근로자 및 사업주 대표 위원으로 석탄화력발전소 발전사 및 협력업체 참여 중

- 현재, 총리실 주관으로 석탄발전산업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근로자·정부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25.8.~)를 통해 관련 논의 진행 중임

* 발전산업 정의로운전환 협의체, 발전산업 고용안전 협의체

□ 향후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는 전반적인 산업전환 관련 의제를 폭넓게 논의하기 위해 구성 등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ㅇ 산업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용 불안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대화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산업전환에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가겠음

문의 : 고용노동부 지역산업고용정책과(044-202-739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