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노동부 "산업전환 과정에서의 고용안정 최선"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산업전환 과정에서의 고용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10일 이데일리 <노동부 산업전환 고용안전 전문위 10개월간 회의 한 번 뿐>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노동부 설명]

<산업전환 고용안정 지원 관련>

□ 고용노동부는 산업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자리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근로자들의 고용안정과 원활한 일자리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시행 중임('22년~)

ㅇ (전환기업 컨설팅) 산업전환 기업의 직무전환 및 재취업지원을 위한 직무전환 방향 및 지원사업 연계 등 실시

* (지원) 총 1,656건 전문컨설팅 제공('22~24년)

ㅇ (전환지원금) 산업전환기업의 사업주가 재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훈련 및 전직서비스 등 제공 시 사업주에게 지급

* (지원내용) ① 훈련비 1인당 300만원내에서 훈련비(실비) 지원② 사업주 훈련장려금 1인당 1일 10만원(정액)을 600만원내에서 지원

ㅇ (전환 훈련지원)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구직자·재직자의 이·전직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및 공동훈련센터** 지속 확대

* 다양한 훈련과정 개설('23년 875개 → '24년 1,317개 과정)훈련실시인원 지속 증가('23년 1.8만명 → '24년 1.9만명)

** ('23년) 20개소 → ('24년) 25개소 → ('25년) 30개소

□ 아울러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급격한 고용환경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의 정의로운 전환 지원을 위한 연구용역과 디지털·AI 전환에 따른 고용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고용영향 사전평가 진행 중임

ㅇ 현재 진행 중인 관련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정의로운 전환 특구 제도 시행 및 디지털·AI 전환에 따른 고용안정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임

* 정의로운전환 특구 지정 기준 및 지원내용 등 마련(산업연구원, ~'25.10.)

* 디지털·AI 전환에 따른 인력수급, 직무변화 등 고용영향 분석(산업연구원, ~'25.12.)

<산업전환 고용안정 전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련>

□ 산업전환 과정에서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산업전환고용안정법을 제정·시행('24.4.) 중임

ㅇ '산업전환고용안정법' 및 고용정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노·사 대표가 동수(각 2명)로 참여하는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 구성('24.11.18.)

* '25.3.26. 제1차 전문위원회 개최

ㅇ 동 전문위원회는 '25년 12월부터 폐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석탄화력발전소 관련 논의의 시급성을 감안하여 석탄화력발전소 고용안정방안 마련을 위한 이해관계자를 위원으로 구성하였음

* 근로자 및 사업주 대표 위원으로 석탄화력발전소 발전사 및 협력업체 참여 중

□ 한편, 올해 8월부터 총리실 주관으로 석탄발전산업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근로자·정부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관련 논의를 진행 중임

* 발전산업 정의로운전환 협의체, 발전산업 고용안전 협의체

□ 향후 산업전환고용안정전문위원회는 전반적인 산업전환 과정에서의 고용안정 지원 기본계획 수립 등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ㅇ 산업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용 불안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대화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산업전환에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가겠음

문의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 지역산업고용정책과(044-202-739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