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노동부 "고용안정 지원 기본계획수립에 만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산업전환에 따른 고용안정 지원 기본계획수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20일 매일노동뉴스 <새정부 산업전환 대응 첫 결과물, 고용유지 대책 빠진 '부실연구용역'>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노동부 설명]

<기본계획 수립을 졸속으로 추진했다는 지적 관련>

□ 산업전환고용안정법 시행('24.4월)에 따라 정부는 '24년부터 산업전환에 따른 고용안정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 중임

ㅇ '24년에는 한국노동연구원을 통해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24.5~12)하였고, '25년에는 1차 연구를 기반으로 관계 부처 협업과제 발굴 및 정책 우선순위 도출 등을 위한 전문가 심층조사를 진행 중 

ㅇ 또한, 산업전환의 주요 논의 과제인 디지털·AI 전환에 따른 고용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고용영향 사전평가'도 별도로 추진 중 ⇒ 따라서, 새정부 출범 후 기본계획을 위한 연구용역을 다급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기사 내용은 사실과 다름

<고용안정 및 재취업 지원 등 방안이 누락되었다는 지적 관련>

□ 산업전환고용안정법 제7조는 매 5년 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같은 조 제2항*에서는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규정하고 있음

* ▲고용영향 사전평가에 관한 사항, ▲직업능력개발 및 재취업 지원, ▲고용유지 및 고용창출 지원, ▲사회적 대화 활성화에 관한 사항 등  

ㅇ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준비와 함께 고용안정 및 원활한 일자리 이동 지원을 위해 산업전환고용안정법에서 규정한 정부의 역할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원 정책을 수립·추진 중임

주요내용
주요내용

□ 향후 기본계획 관련 연구용역 결과 등을 기초로 폭넓은 의견수렴을 위한 전문가 포럼을 운영할 예정임('25.10.~)

ㅇ 1차 연구 및 전문가 심층조사 결과를 토대로, 포럼 운영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 및 현장 관계자의 의견을 적극 청취하는 한편,

ㅇ 현재 시행 중인 지원정책에 대한 개선·보완 및 확대 개편 방안 등도 검토할 예정임

ㅇ 아울러 각계각층의 폭넓은 의견수렴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 기본계획을 차질없이 마련('26.上)할 계획임 

문의 : 고용노동부 지역산업고용정책과(044-202-739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