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잠정관세, FTA 협상서 기준세율로 포함 안해

2015.10.26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한겨레 <이미 더 낮게 적용받는데…한-중 FTA 관세 혜택 안크다> 제하 기사에 대해 “잠정관세는 적용 기간이 불확실해 FTA상 관세감축의 시작점인 기준세율(base rate)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호주 FTA 등 중국의 기체결 FTA에서도 잠정관세가 기준세율에 포함된 바 없다”며 “우리도 할당관세와 같이 일시적으로 인하된 관세는 FTA 협상에서 기준세율로 포함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중국의 잠정관세 인하는 일부 품목을 대상으로 하고 매년 갱신이 필요한 잠정적인 조치”라면서도 “한-중 FTA는 중국의 전체 품목(8194개)에 대해 관세인하 및 철폐 의무를 확정한 것이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콜롬비아 FTA에는 콜롬비아의 최혜국(MFN) 세율이 낮아지는 경우에 대한 합의 사항이 포함돼 있으나 이는 협상 과정에서 콜롬비아의 MFN 세율이 큰 폭으로 영구적으로 인하되는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며 “매년 갱신되는 중국의 잠정적인 관세 인하조치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한겨레는 이날 “한-중 FTA 효과가 중국의 잠정관세율 정책으로 인해 크게 퇴색될 수 밖에 없다”면서 “한-중 FTA상 양허보다 실제로 더 낮은 관세가 매겨지는 상품인 항공유, 전기밥솥 등으로 인해 배타적인 관세 혜택이 크지 않다”고 보도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동아시아FTA추진기획단 02-734-186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