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4일자 뉴스1의 <AI 확산 심각한데 일부 지자체 철새관광 ‘여전’> 제하 기사 관련 “지난달 11일 AI 최초 확진 이후 주요 철새 도래지를 보유한 지자체에서는 철새 탐조관광 등을 즉시 중단 조치했다”며 “주요 철새도래지 별로 철새 탐조관광이 운영 중이라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대규모 철새 도래지를 보유한 순천시(순천만, 11월 15일부터), 부산시(낙동강하구, 11월 18일부터), 서천군(금강하구, 11월 18일부터), 서울시(한강 본류 및 지천, 11월 30일부터), 서산시(천수만, 12월 1일부터)에서는 철새탐조 프로그램을 중단 조치한 바 있다.
또 환경부는 지난달 11일 AI 최초 확진 이후, 지자체에 공문 지시(11부터 총 17회)와 시·도 환경부서 대책회의(11월 25일, 12월 2일)를 통해 철새서식지 주변 행사중단, 출입통제 등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참고로 환경부는 지난달 11일부터 ‘야생조류 AI 상황반’을 운영하면서 주요 철새도래지 실태조사, 철새 이동경로 조사, 분변 채취·검사, 철새서식지 관리 대응, 매몰지 환경관리 등을 농식품부와 긴밀히 협조해 오고 있다.
한편, 언론은 이날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 별로 철새탐조관광이 운영 중이지만 환경부에서 이를 제한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의: 환경부 자연보전국 생물다양성과 044-201-7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