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8일 중앙일보 <자유학기제가 고소득층 사교육을 늘린다> 제하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명했다.
먼저 교육부는 한국교육개발원(KEDI) 자유학기제 특임지원센터의 김경애 소장의 발언을 인용해 “‘자유학기제는 기존의 교과중심의 암기식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자유학기 시행과정에서 나타나는 효과는 학생 역량, 수업 혁신,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력 변화 등 다각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또한 “KEDI에서는 자유학기의 경험 여부와 사교육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바 있으나, 이번 연구는 자유학기를 경험하지 않은 학생도 포함된 모든 중학생의 데이터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교육부는 자유학기제 경험학생의 사교육비는 미경험학생의 사교육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도에 인용된 연구에서 자유학기에 교과수업의 축소를 지적했는데, 자유학기는 교과수업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요와 학교의 여건을 바탕으로 한 자유학기 활동을 운영해 공교육의 다양화를 유도하는 긍정적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자유학기를 포함한 공교육을 통해 소득 수준의 격차와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교육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자유학기 중에도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과수업과 자유학기 활동을 더욱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 교육연구관 044-203-6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