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노후 석탄발전 폐쇄에도 인위적 인력감축 없어

2019.04.10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그간 노후 석탄 발전 폐지 과정에서 인위적 인력 감축은 없었으며, 향후에도 석탄 발전 감축 과정에서 타 사업으로의 원활한 인력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10일 한국경제 〈LNG발전 늘리기 ‘3大 딜레마’ 빠진 정부〉에 대한 설명입니다

노후 석탄발전 폐쇄에도 인위적 인력감축 없어

  • fact_01 하단내용 참조
  • fact_02 하단내용 참조
  • fact_03 하단내용 참조
  • fact_04 하단내용 참조

[보도 내용]

- 석탄 발전소를 폐쇄하고 고용유발 효과가 낮은 LNG 발전소로 전환시킬 경우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불가피
 * 향후 10년 안에 폐쇄가 유력한 석탄발전소는 26기

- LNG 발전은 일산화탄소, 미연탄화수소를 다량 배출하여 비친환경적

- 발전단가가 높은 LNG 발전량의 증가로 전기요금 폭등 우려

[산업통상자원부 설명]

현재까지 서천 1·2호기 및 영동1호기(’17.7월), 영동2호기(’19.1월) 등 노후 석탄발전 4기가 폐쇄 완료되었으나, 타 사업소 배치 등으로 인위적 인력 감축은 발생하지 않았음

향후 폐쇄 예정인 노후 석탄 6기*에 대해서도 타 사업소(건설중 석탄발전소) 또는 신사업(신규 LNG 사업소, 재생에너지 사업소) 분야로의 원활한 인력전환을 추진할 계획임
 * (‘19.12월) 삼천포 1·2 , (’21.1월) 호남 1·2, (‘22.5월) 보령 1·2

정부는 ‘17.12월에 수립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석탄 발전량 비중을 ’30년 36.1%까지 감축(‘17년  43.1%, 실적치)하기로 했으나,

석탄발전 추가 감축 규모 및 일정 등은 확정된 바 없으며, 이는 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검토·반영할 예정임

LNG 발전은 석탄 발전에 비해 친환경적인 발전원으로 평가됨

LNG 발전은 황산화물과 먼지를 거의 배출하지 않아, 초미세먼지(PM 2.5) 배출이 석탄의 1/8 수준이며(MWh당 배출량)

LNG 발전의 일산화탄소 및 미연탄화수소는 기동초기가 아닌 정상 운전시에는 거의 배출되지 않음

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영향은 이미 '17.12월 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밝힌 바 있음
 * 22년까지 인상요인은 1.3%로 거의 없으며, ‘30년까지는 10.9% 발생

에너지전환 정책은 미세먼지, 전기요금 등 부분적 요소가 아니라 에너지원별 경제성, 환경성, 수용성(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한 것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 044-203-515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