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김혜경 여사, APEC 정상회의 계기 배우자행사 불국사 방문 관련 전은수 부대변인 서면브리핑

2025.10.31 대통령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김혜경 여사는 오늘(31일) 오전,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세계문화유산인 불국사에서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경제체 대표 배우자들을 초청해 배우자 행사를 주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6개 경제체 대표 배우자가 참석해 한국 전통문화의 정수와 가을의 아름다움을 함께 만끽했습니다.
※ 참석 경제체 배우자: 캐나다 다이애나 폭스 카니 여사, 뉴질랜드 아만다 럭슨 여사, 필리핀 루이즈 아라네타 마르코스 여사, 싱가포르 루즈루이 여사, 대만 린원쉬엔 영애, 태국 타나논 니라밋 여사

불국사는 단순한 관광 명소가 아니라 과거와 현재, 현실과 이상을 잇는 가교(架橋)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 장소로서, 당시 우리 선조들이 추구해 온 이상세계인 불국(佛國)을 현실에 구현하고자 한 철학이 깃든 곳입니다. 그런 곳을 APEC 회원경제체 배우자들이 찾은 것은 각기 다른 문화와 가치를 하나의 조화로운 세계로 연결하는 상징적 여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배우자들은 영접하러 나온 김혜경 여사의 품격 있는 한복 자태에 감탄하며 "의복이 너무 아름답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김 여사는 "한국의 전통의상인 한복입니다"라며 자연스럽게 한복을 소개했습니다.

김 여사는 직접 아이디어를 내서, 최근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해 화제가 된 전통 복주머니 안에 핫팩을 넣어 6개 경제체 배우자들에게 선물했습니다. 김 여사는 "복주머니의 황금빛 福(복) 글자는 '행복'과 '행운'을 상징하며, 받는 순간부터 복이 깃드는 마음을 전한다"며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 늘 행운과 행복이 함께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또 "핫팩은 서늘한 날씨에 방한해주신 배우자들께 따뜻함을 전하고자 준비했다"고 말했습니다. 배우자들은 김 여사의 세심한 배려에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공식 기념촬영은 복주머니를 든 채 불국사의 대표 상징물인 청운교와 백운교를 배경으로 진행됐습니다. 신라 석공예의 정수가 담긴 두 다리는 하늘로 오르는 인간과 불국(佛國)을 잇는 길로서, 이번 배우자 행사가 각국의 마음을 하나로 잇는 다리가 되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붉게 물든 단풍과 고즈넉한 석단(石段)이 어우러진 가을의 불국사는 천년의 시간과 오늘의 우정을 동시에 비추며, 참가자들의 마음에 깊은 여운을 남겼습니다.

이번 행사의 또 하나의 특별한 순간은, 스님들이 직접 문화유산을 해설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단순한 설명을 넘어, 각 전각과 석탑에 깃든 철학과 장인정신을 마음을 전하는 말로 풀어냈습니다. 참가자들은 불국사의 아름다움을 눈으로 감상하는 동시에, 한국인의 정신과 정성을 마음으로 느끼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어 무설전(無說殿)에서 진행된 한식체험 프로그램에서는 콩을 주재료로 한 다식(茶食) 만들기가 진행되었습니다. 콩은 씨앗이자 생명, 그리고 조화와 공존의 상징입니다. 작은 알갱이가 모여 단단한 생명을 이루듯, APEC 회원경제체 간의 협력과 연대도 작지만 꾸준한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참가자들은 각자의 손끝에서 완성된 다식을 통해, 하나의 재료가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며 서로를 이어주는 연결의 미학을 체험했습니다. 김 여사는 직접 다식을 만들며 "천년의 숨결이 살아있는 곳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함께 보고 듣고 체험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습니다.
※ 불교계 주요 참석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불국사 주지 종천 스님, 진관사 회주 계호 스님

다식 체험 후에는 은은한 향의 우전(雨前) 녹차를 곁들이는 다도(茶道) 체험이 이어졌습니다. 깊은 맛과 향을 천천히 음미하는 차 한 잔의 시간은, 각국 배우자들이 서로의 마음을 잇고 대화를 이어가는 또 한 번 교류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차를 따르고 나누는 과정은 존중과 배려의 예(禮)를 공유하는 문화적 소통의 장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참석자들은 눈을 감고 범종각의 은은한 종소리를 들으며 명상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행사 운영은 서울 진관사 스님들이 직접 맡아 진행했습니다. 진관사는 조선시대부터 수행의 맥을 지켜온 대한불교조계종 대표 비구니(比丘尼) 도량으로 수많은 국제행사를 치러낸 경험을 바탕으로 섬세한 환대를 선보였습니다.

이번 불국사 배우자행사는 '시간을 잇는 다리, 문화를 잇는 마음'을 주제로, 한국 고유의 미(美)와 세계의 다양성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상징적인 순간이었습니다.

김혜경 여사는 "불국사의 석단을 밟는 발걸음마다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 사람과 사람을 잇는 다리가 놓였다"며 "이날의 만남이 APEC을 넘어 인류가 공존의 길로 나아가는 아름다운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2025년 10월 31일

대통령실 부대변인 전은수

하단 배너 영역